-
듀시엔형/듀센 근이영양증(Duchenne muscular dystrophy) : 유전성 희귀질환건강정보/건강칼럼 2022. 6. 21. 19:07728x90
안녕하세요 궁금하닥입니다.
오늘은 희귀, 난치성 질환인
근이영양증은 일반인들에게 생소한 질환이죠.
근육단백질을 합성하는 유전자이상으로 발생하며
시간이 지날수록 근력이 약화돼
자발적 호흡이 어려운 상태에 이르는 무서운 질환입니다.
근이영양증은 듀시엔형 근이영양증(듀센형근이영양증,DMD)축생경화증(ALS), 근긴장성 이영양증 등이 대표적이며,
이중 듀시엔형 근이영양증은 근이영양증질환 중
발병률이 가장 높은 유전성희귀질환으로
남성에서 주로 발병하는 질환입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이 듀센 근이영양증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1. 듀센 근이영양증이란?
출처 : 한국근육장애인 협회 듀센 근이영양증(DMD)은 근육세포를 온전하게 유지하는데
도움이 되는 디스트로핀(dystrophin)이라는
단백질의 변화로 인해 진행성 근육 퇴화와
결함이 특징인 유전적 질환입니다.
증상은 보통 2세에서 3세 사이의 유아기에 발병하며주로 남자아이들에게 발생하지만,
드물게 여자아이들에게도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유럽과 북미에서는 듀센 근이영양증 유병율은10만 명당 약 6명입니다.
초기 단계에서 듀센 근이영양증(DMD)은
어깨와 상완 근육 그리고 엉덩이와 허벅지의 근육에 영향을 미쳐
바닥에서 일어나기, 계단을 오르고 균형을 유지하고
팔을 올리는데 어려움으로 이어집니다.
2. 듀센 근이영양증의 원인은?
듀시엔형 근이영양증의 원인 유전자는
X 염색체의 p21에 존재하는 디스트로핀 유전자입니다.
이 유전자의 결함으로 인해 디스트로핀 단백이 결핍됩니다.
발생 원인 중 65%는 디스트로핀 유전자 내 결실이고,
5~10% 정도는 유전자의 중복이며,
나머지는 점돌연변이, 미세결실 등입니다.
디스트로핀 단백이 결핍되면
근육 자체가 결합 조직이나 지방으로 대치되어
근육의 가성비대가 출현하고 근력이 저하됩니다.
[듀센 근이영양증 보인자]
듀센 근이영양증(DMD) 보인자는
한쪽 X 염색체에 정상적인 디스트로핀 유전자를 가지고
다른 X 염색체에 비정상적인 디스트로핀 유전자를 가진 여성입니다.
대개 질병의 징후와 증상을 가지고 있지 않지만,
소수에게서 증상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3. 듀센 근이영양증의 증상
듀시엔형 근이영양증은 신생아기 또는
태아기 때부터 근육 이상이 발생하고
혈청 요소(CK 등)가 상승하는 것이 특징입니다.
증상이 발생하는 시기는 개인마다 다소 차이가 있지만,
대개 아이가 보행을 시작한 후 부모가 발견하는 경우가 많고
대개 2~4세 경에 인지됩니다.
듀시엔형 근이영양증에 걸린 영유아는
근력이 약화돼 정상적인 보행자세를 취할 수 없습니다.
배를 내민 상태로 뒤뚱거리는 오리걸음과
뒤꿈치를 들고 발가락으로 걷는 것이 특징이며
또 일어날 때 손으로 무릎이나 허벅지를
짚으며 일어나는 ‘가우어사인(Gower’s sign)‘현상이 발견됩니다.
가성비대형이라고 불리는 것처럼,
발병 초기에 비복근이 딱딱하고 비대해집니다.
때문에 침족위(toes-walking)가 되고,
요대근 및 대퇴 사두근의 근력이 저하됩니다.
그래서 다리를 넓게 벌리고 허리를 흔들면서 걷는 동요성 보행과,
복부를 앞으로 내밀고 걷는 전국 보행을 합니다.
시간이 지나면 차츰 계단을 오르내리는 것이 불가능해집니다.보통 10~12세에 자발적 보행이 어려워져
휠체어에 의지하게 됩니다.
근육이 점점 짧아지고 근육조직이 소실돼
주요관절을 움직일 수 없기 때문입니다.
가장 큰 문제는 호흡에 도움을 주는 근육까지 소실돼
호흡기에 의존해야한다는 것이며
이 때문에 대다수의 듀시엔형 근이영양증환자는
호흡기장애나 감염, 심근병증으로
20~30대에 생을 마감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4. 듀센 근이영양증의 진단
① 혈청 효소
혈중에 존재하는 근육 효소로는
CK, GOT, GPT, LDH 등이 있습니다.
특이하게 CK가 고도로 상승하여 보조 진단에 많이 사용됩니다.
근 위축이 진행됨에 따라 CK가 차츰 저하되고,
말기에는 거의 정상에 가깝게 됩니다.
② 근전도
근원성 변화인 저진폭(low voltage)과지속 시간 단축(short duration)의 방전을 볼 수 있습니다.
③ 면역 조직 화학적 검사(immunohistochemistry)
근생검에서 근세포막에 존재하는디스트로핀에 대한 항체를 염색하여
그 유무를 검출하는 방법입니다.
현재 이 방법이 널리 사용되고 있습니다.
④ DNA 진단
디스트로핀 유전자의 결실, 유전자 일부의중복 혹은 점돌연변이를 검출합니다.
5. 듀센 근이영양증의 치료 및 관리
듀시엔형 근이영양증의 가장 큰 문제는
증상완화제만 있을 뿐 치료제가 없다는 것으로
현재 듀시엔형근이영양증에 주로 사용되는
약물은 스테로이드 입니다.
경구용 ’프레디니손(prednisone)‘과 ‘데플라자코드(deflazacort)’가 대표적인데,이 두 약물의 근력향상효과는 비슷하다고 합니다.
최근 ‘유전자치료제’ 에 관한 개발이 이루어 지고 있는데미국 근이영양증 협회(MDA)가 지원하는 연구원들은
유전자 치료, 엑손 건너뛰기(exon skipping),
코돈 판독 중단(stop codon read-through),
유전자 복구 등의 전략을 적극적으로 추구하고 있습니다.
대표적인 치료제는 PT테라퓨틱스의 아탈루렌(제품명 : 트랜스라나)로
국내에서는 2015년 조건부판매허가를 취득했습니다.
또 사렙타테라퓨틱스의 에테플러센(제품명 : 엑손디스51)은유전자편집기술을 이용해 에테플러센을 개발,
2016년 미국 FDA승인을 받았습니다.
결함이 있는 유전자 엑손51을 변경하거나 조작해
디스트로핀을 만드는 치료제로
14%의 환자에게만 사용할 수 있다는 단점이 있습니다.
여러 제약회사에서 노력하고 있지만
아직까지 듀시엔형 근이영양증치료제 개발에는더 많은 시간이 필요할 것으로 보입니다.
728x90'건강정보 > 건강칼럼' 카테고리의 다른 글
코로나 19 재유행 : 오미크론의 하위 변이종(BA.5, BA.2.75 - 켄타로우스 변이) (0) 2022.07.25 원숭이 두창 : 국내 확진자 발생 (0) 2022.06.22 원숭이 두창 : WHO의 발표 외(+ 전파방식 및 경로, 증상, 백신) (0) 2022.05.31 라식 vs 라섹 : 뭐가 좋아요? (+ 스마일라식, 렌즈삽입술) (0) 2022.05.29 눈 다래끼 : 병원에 가지 않고 나을 수 있을까요? (0) 2022.05.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