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깨, 상지근육 -3. 삼각근, 상완이두근, 상완삼두근 :: 궁금하닥(QuestionDoc)

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어깨, 상지근육 -3. 삼각근, 상완이두근, 상완삼두근
    건강정보/근육학 2022. 1. 12. 18:50
    728x90

    안녕하세요 궁금하닥입니다.

     

    오늘은 어깨, 상지근육 세번째 시간,

    위팔을 구성하고 있는 근육 중

    삼각근, 상완이두근, 상완삼두근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1. 삼각근(Deltoid, 어깨세모근)

     

    origin : 전삼각근-쇄골의 외측 1/3, 

    중삼각근-견봉돌기

    후삼각근-견갑극

    Lateral 1/3 of Clavicle (clavicular part), 

    Acromion (acromial part), Spine of Scapula (spinal part)
    Mnemonic: 'Deltoid helps you carry SACS

    insertion : 상완골의 삼각근조면

    Deltoid tuberosity of humerus

    function : 

    Clavicular part: flexion and internal rotation of the arm,
    Acromial part: abduction of the arm beyond the initial 15°
    Spinal part: extension and external rotation of the arm.

     

    삼각근은 어깨의 전체를 덮는 표층의 큰 근육으로,

    삼각근의 긴장 시, 어깨 충돌이 증가하고

    견봉하점액낭염을 압박할 수 있습니다.

     삼각근은 물건을 들 때 어깨가 탈구되지 않게 하는 근육이고,

    어깨 탈구 또는 회전근개 파열시 파열될 수 있습니다.

    통증은 대부분 삼각근 근복부에서 나타납니다.

     

    즉, 어깨에 통증이 있는데

    대결절 주변이라면 회전근개를 1차적으로,

    대절결 보다 아래쪽이라면 삼각근을 의심하고 치료합니다.

    또한, 회전근개 치료 시 일정부분 이상에서 호전이 더딜 경우

    삼각근을 동시에 치료하면 효과적입니다.

    치료적 접근 시 비교적 안전한 부위로 뼈까지 자입하며 치료합니다.

     

    삼각근은 전부, 중부, 후부 섬유의 근막 자체에 통증을 방사하며,

    표재성이고, 원거리로 방사되는 통증은 없습니다.

    TP 점 근처 자극시 압통이 매우 강하지만, 안정시에는 통증이 많이 감소됩니다.

    극상근, 극하근의 위성 TP로 자주 발생하며,

    임상적으로 극상근을 먼저 치료합니다.

    TP는 주로 전부와 후부에 있으며, 전부는 위쪽, 후부는 아래쪽에 많습니다.

     

     

    2. 상완이두근(Biceps brachii, 위팔두갈래근)

    origins : 장두-관절상결절

    단두-오구돌기

    Short head - Apex of the Coracoid process of the scapula
    Long head - Supraglenoid tubercle of the scapula

    insertion : 요골결절과 두갈래근널힘줄

    Radial tuberosity of the radius
    Deep fascia of forearm (insertion of the bicipital aponeurosis)

    function : Flexion and supination of the forearm at the elbow joint,

    weak flexor of the arm at the glenohumeral joint

     

    상완이두근은 근육 자체의 통증 보다는 장두와 단두 건 주위에 통증이 나타나며,

    특히 장두의 결절사이고랑(대결절과 소결절 사이 고랑)을 지나는 부위에 주로 염증성 통증이 나타납니다.

    견봉하점액낭염이나 오십견으로 인해 극상근, 극하근 외에도 상완이두근까지 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

    *speed test, yergason test를 통해 상완이두근 검사 시행

     


    주관절 굴곡 시 작용하는 근육

     

    1. 손바닥이 하늘을 향한 상태에서 굴곡 : 상완이두근

    2. 손등이 하늘을 향한 상태에서 굴곡 : 상완근

    3. 엄지가 위로 간 상태에서 굴곡 : 상완요골근


    상완이두근 장두

     

    상완이두근의 촉진을 위해서는,

    이두근의 단두는 오구돌기를 촉진한 뒤 팔을 굴곡시키면 수축되는 근육입니다.

    장두는 팔을 약간 외회전 시켜야 상완이두근의 장두를 잘 촉진할 수 있습니다.

    치료적 접근 시, 장두의 염증성 통증은 약침, 부항, 도침을 주로 사용하며

    근복부의 통증에 침치료를 시행하면 효과적입니다.

     


    상완이두근 건염

     

    과사용과 타박상이 상완이두근건 장두 주위에 건초염(synovitis)을 유발하여 움직일때마다 통증을 일으킵니다.

     통증은 견관절의 전면부에서 발생하며, 심한 경우에 어깨의 앞쪽을 타고 팔꿈치까지 내려갑니다.

    어깨관절의 움직임에 의해 통증이 악화되고, 야간 수면시간에 통증이 흔히 악화되며, 촉진 시 명확한 통증이 나타납니다.


    상완이두근의 TrPs 양상은 주로 천층의 어깨앞통증이며 깊숙한 통증은 아니며, 

    손을 머리위로 올릴 때(어깨 높이 보다 위로 거상 시) 통증이 심화됩니다.

    상완의 외전시 경직된 장두 건에서 나오는 딸깍거리는 소리가 나기도 합니다.

    극하근 통증과 달리 아픈 쪽으로 밑으로 하여 누울 수 있고,

    극하근과 달리 허리 뒤로도 손이 닿을 수 있습니다.

    삼각근하 점액낭염이나 이두근 건염으로 쉽게 오진될 수 있습니다.

     

     

    3. 상완삼두근(Triceps brachii, 위팔 세갈래근)

    origin : 장두-견갑골 관절와하결절

    외측두 - 상완골의 요골신경구 위쪽

    내측두 - 상완골의 요골신경구 아래쪽

    Long head - infraglenoid tubercle of the scapula
    Medial head - posterior surface of the humerus (inferior to radial groove)
    Lateral head - posterior surface of the humerus (superior to radial groove)

    insertion : 척골의 주두돌기

    Olecranon of ulna and fascia of forearm

    function : Elbow joint: extension of the forearm 
    Shoulder joint: extension and adduction of the arm (long head)

     

    상완삼두근은 팔의 뒷면을 구성하는 근육으로

    팔 뒤쪽이나 팔꿈치 뒤 통증와 팔꿈치 아래 저림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특히, 신전 시 팔꿈치 뒤에 통증이 있는 경우와

    상완요골근 부위가 애매하게 아픈 경우 삼두근의 압통점을 찾아보면 좋습니다.

    삼두근에 의한 요골신경의 압박으로 인해 발생하는데,

    압통점은 특히 외측두 위주로 발생합니다.

    치료 시 자입깊이는 뼈까지 깊게 자입해도 무방합니다.

     

    상완삼두근의 외측두

     

    어깨가 굽은 사람에게 주로 이완성 과긴장이 있으며,

    강화시 쥐가 잘 나고 주관절 굴곡이 어려워 집니다.

    다만, 주관절 운동은 주관절 자체 문제에 의한 것일 가능성이 더 높습니다.

     

    상완삼두근의 TrPs는 4군데로,

     

    ① 장두의 TP1 - 상완의 후면~견관절의 뒤까지 퍼집니다.

                     (승모근 상부의 목의 기저부로 방사. 주관절은 건너 뛰고 전완 배측 방사)

      ② 단두의 외측두(TP3) - 전완의 배면, 상완의 후면, 만성적 긴장은 요골신경을 폐색시킬 수 있습니다.

      ③ 단두의 내측두(TP2) - 외측상과 통증(테니스엘보), 환자는 뼈가 아프다고 표현합니다.

      ④ 단두의 내측두(TP4) - 주두돌기 통증, 압통이 나타납니다.

     

    팔굽혀펴기, 평행봉, 철봉등에 의한 과부하가 발생하면 활성화 되어,

    딱딱한 곳에 팔꿈치 기대면 통증 때문에 지지하기가 여렵게 됩니다.

    728x90

    댓글

Designed by Ti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