갱년기 장애 : 폐경과 갱년기 증상, 왜 생기나요?(안면홍조, 근육통, 질건조, 불면 등) :: 궁금하닥(QuestionDoc)

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갱년기 장애 : 폐경과 갱년기 증상, 왜 생기나요?(안면홍조, 근육통, 질건조, 불면 등)
    건강정보/부인과 2022. 8. 3. 18:44
    728x90

     

    안녕하세요 궁금하닥입니다.

     

    오늘 포스팅에서는 폐경기 전후에 나타나는

    안면홍조, 근육통, 불안, 불면 및

    피부건조감, 질위축 등

    여러 증상을 아우르는 갱년기 장애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1. 갱년기 장애의 정의?

     

     

    여성 갱년기 장애란 노화로 인해

    난소의 기능이 소실되면서

    월경이 영구히 없어지는 폐경과 관련된

    여러가지 증상들을 말합니다.

    소의 기능 감소에 따라 발생하는

    에스트로겐 농도의 감소로

    갱년기 증상이 나타날수 있는데

    증상의 정도는 개개인마다 차이가 있습니다.

     

    폐경이 나타나는 시기는 대개 유전적으로 결정됩니다.

    주로 50세 전후에 폐경이 나타나지만,

    무조건 이 시기에 폐경이 발생하는 것은 아니며

    50세보다 빠른 시기에 폐경이 오는 경우도 있고,

    이보다 늦은 시기에 폐경이 오는 경우도 있습니다. 

     

    [참고 : 폐경의 진단기준]

     

    폐경의 진단기준은 45세 이상 여성이

    월경이 불규칙하며 갱년기 증상이 보일 경우

    폐경이행기로 간주하며,

    1년 이상 무월경을 보이면 폐경으로 진단할 수 있습니다.

    이때, 호르몬 평가는 필수적이지 않으나

    대개 고성선자극호르몬성 저에스트로겐 혈증을 보입니다.

    (FSH 40mlU/mL, E2 30pg/mL)

     

     

    1) 여성 호르몬에 대한 이해

     

     

    여성호르몬은 난소에서 분비되는

    에스트로겐과 프로게스테론 두가지가 있습니다.

    에스트로겐은 뇌하수체에서 분비되는

    난포자극호르몬(FSH)의 지시를 받아 생성되며,

    프로게스테론은 황체호르몬(LH)의 지시를 받아 생성됩니다.

     

    이 중 10대 중반쯤 부터 분비되는 에스트로겐은

    여성의 제2차 성징(性徵) 발현과 직접적 관계가 있어

    통상 에스트로겐만을 여성호르몬이라 부르기도 합니다.

    이 호르몬의 작용으로 여성은

    피부가 매끄럽고 탱탱하게 되며,

    가슴이 볼록하게 튀어 나오며,

    골반이 커지게 되고 성욕을 느끼게 됩니다.

    에스트로겐은 또 난소내의 난자를 성숙시켜

    임신에 대비하는 역할도 합니다.

     

    이에 비해 프로게스테론은

    에스트로겐이 성숙시킨 난자를

    몸 밖으로 배란시키는 역할을 하며,

    난자가 정자를 만나 수정된 수정란이

    자궁에 착상되고 임신이 유지될 수 있도록

    자궁 내막을 두텁게 만드는 작용도 합니다.

    에스트로겐이 성욕을 느끼게 한다면

    프로게스테론은 성욕이나 발정을 억제하는 역할을 합니다.

     

    폐경기 전 5~10년간 호르몬 분비가 감소하면서

    에스트로겐과 프로게스테론의 균형이 깨어지게 되는데

    이 때를 갱년기라고 합니다.

    호르몬 분비가 감소하는 이유는

    뇌하수체에서 난포자극호르몬이나 황체호르몬을 내려 보내도

    난소가 예전처럼 즉각즉각 반응해서

    호르몬을 생산하지 않기 때문입니다.

     

     

     

    2) 폐경 관련 용어

     

    자발적 폐경(Spontaneous menopause)와

    유도된 폐경(Induced menopause)

     

    일반적으로 50세 전후에 난소기능의 부전으로 인해

    폐경이 이루어 지는 것을 자발적 폐경, 자연 폐경이라고 합니다.

    한국인의 경우 평균 49.7-50세로 보고되고 있습니다.

     

    유도된 폐경, 의인성 폐경의 경우

    자궁절제술, 항암치료(화학요법, 방사선치료) 등으로 인해

    폐경이 유발된 것으로,

    자연폐경 대비 증상 발현이 신속하고 위중하며

    예후가 불량한 경향을 보이고 있습니다.

     

    특히 유방암 환자의 경우 약물치료로 인한

    부작용을 빈번하게 보고하고 있는데요,

    선택적 에스트로겐 수용체 조절제인 SERMs 계열

    약물들(ex. 타목시펜, 랄록시펜)은 안면홍조, 혈전, 뇌졸중

    등의 부작용을 을 유발할 수 있으며

     

    방향화효소 억제제(에스트로겐 합성효소 억제제)인

    Arimiddex, aromasin, femara, letrozole 등은 

    홍조, 근육 및 관절통, 골절, 심장질환 등의

    부작용을 유발한다는 보고가 있습니다.

     

    한편, 갱년기 장애라는 단어의 모호성으로 인해

    의학용어로 쓰이는 단어는 

    주폐경기(perimenopause), 또는 폐경 전 과도기(menopause transition)입니다.

    월경 불규칙시기부터 폐경 후 1년까지의

    호르몬 불균형 시기를 총칭하는 단어입니다.

     

    이외에도, 40세 이전 폐경이 발생한 경우는

    조기난소부전(premature ovarian insufficiency)

    또는 조기폐경(premature menopause)라고 하며

    전체의 약 1% 정도를 차지합니다.

    40세에서 45세 사이에 발생한 경우

    이른 폐경(early menopause)이라고 하며,

    전체의 약 25%정도를 차지하고 있습니다.

     

     

    3. 남성에게도 갱년기 장애가?

     

    남성에게도 갱년기장애가 있습니다.

    화끈거림 및 이명 등의 부정호소 외에

    빈뇨 및 잔뇨감, ED(발기부전) 등의 성기능 저하,

    우울 증상등을 호소할 수 있으며

    남성호르몬의 저하와 사회적 스트레스가 원인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2. 갱년기 장애의 흔한 증상

     

     

    갱년기에 가장 흔하게 나타나는 증상은

    불규칙한 생리입니다.

    여성 호르몬의 결핍에 의한 증상도 나타납니다.

     

    폐경 증상은 특히 폐경 직후 심하게 나타납니다.

    증상의 심한 정도는 개인에 따라 차이가 많아

    증상을 거의 느끼지 못하는 경우부터

    일상생활이 어려울 정도로 심한 경우까지 다양합니다.

    폐경 상태, 생물학적 연령, 낮은 경제 상태,

    흡연, 부정적 기분증상, 폐경에 대한 부정적인 태도 등

    폐경기 증상의 주요 위험 요인으로 밝혀져 있습니다.

    이런 요인은 혈관운동성 증상뿐 아니라

    심리 증상 및 다른 신체 증상과도 연관성을 보입니다.

     

    발현되는 증상에도 시기적인 차이를 보입니다.

     

     

    1) 갱년기에 흔한 초기 증상

     

    혈관운동 증상

    안면홍조(가장 많이 발생), 상기감, 수족냉증

    동계(두근거림), 숨참, 심계항진

     

    근골격계 증상

    어깨결림, 두통, 요통, 관절통

     

    정신 및 신경증상

    안절부절 못함, 불안감, 불면, 무력감

     

    2) 폐경 후 두드러지는 중기증상

     

    피부, 지각증상

    피부건조감, 벌레가 기는 듯한 느낌, 손발저림

     

    질 위축증상

    질건조감, 성교통, 성욕저하

     

    방광요도 위축증상

    빈뇨, 요실금, 과민성방광

     

    3) 폐경 후 장기적 문제 및 후기 증상

     

    고지혈증 및 체지방 증가

    골다공증 및 관련 증상

    (요통, 배통, 신장감소, 골절, 보행장애

    운동능력저하, 역류성식도염 등)

    심혈관 질환의 위험성 증대

     

     

    각 증상의 구체적인 발생 원인과

    치료 및 생활 관리법에 대해서는 다음 포스팅에서

    이어서 하도록 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https://questiondoc.tistory.com/69

     

    폐경인 줄 알았는데, 생리가 다시 시작된다면?

    안녕하세요 궁금하닥입니다. 오늘은 폐경한 뒤에 발생하는 질 출혈으로 혹 생리가 다시 시작하는 건지, 혹시 몸에 이상이 생긴건 아닌지 궁금해 하시는 여성분들이 계신데요 알아보도록 하겠습

    questiondoc.tistory.com

     

    728x90

    댓글

Designed by Ti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