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기난소부전(조기폐경)의 원인 및 치료 :: 궁금하닥(QuestionDoc)

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조기난소부전(조기폐경)의 원인 및 치료
    건강정보/부인과 2022. 8. 10. 18:20
    728x90

     

    안녕하세요 궁금하닥입니다.

     

    저번 포스팅에서 갱년기장애 및 폐경에 대해

    조금 다루었었는데요.

    이번에는 그 폐경이 40세 이전에 오면서

    생기는 여러 문제점들을 이르는 증후군인

    조기난소부전, 다른 말로는 조기폐경의

    원인과 증상 및 치료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1. 조기난소부전의 정의

     

     

    조기난소부전(premature ovarian failure, POF)은

    40세 이전에 6개월 이상 생리가 없으면서

    1개월 간격으로 2번 측정한 혈중 난포자극호르몬

    (follicular stimulating hormone,FSH)이

    40mIU/ml 이상으로 증가된 경우를 말합니다.

     

    무월경과 동반하여 고성선자극호르몬 및

    저에스트로젠증을 동반하게 되며

    난소조직 생검을 통해 조기난소부전을 확진할 수 있습니다.

     

    40세 이전에 난소기능이 정지되는 빈도는

    서양의 경우 100명당 1명 정도입니다.

    우리나라의 경우도 이와 비슷할 것으로 보고 있는데,

    30세 이하에 난소기능이 정지되는 빈도는

    1,000명당 1명으로 보고되어 있습니다.

     

    [관련 용어]

     

    POF(조기난소부전)는 조기폐경(premature menopause),

    생식선 이상발생 (gonadal dysgenesis) 및 저항성 난소 증후군 (resistant ovary syndrome)

    등으로 혼용되어왔습니다.

    조기폐경은 난포가 완전히 고갈된 상태로

    조기난소노화를 의미하나,

    POF 진단 후 호르몬 치료중에 20%에서 배란이 관찰되고,

    5~10%에서 임신이 보고되기 때문에

    영구적 불임을 의미하는 조기폐경은 현재는 잘 사용하지 않습니다.

    잠재성(occult) 난소부전은

    불임, 규칙적인 월경, FSH 상승을 보일 때를 말하며,

    전구성 (prodromal) 난소부전은

    희발월경(oligomenorrhea) 혹은 가능성 자궁출혈(DUB)을 보이면서

    에스트로젠 호르몬 부족 및 FSH의 증가를 보이는 경우입니다.

     

     

    [난소의 기능]

    여성의 생식기관은 자궁과 난소, 
    그리고 난관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난소는 양쪽 아랫배에 하나씩 있는 분비샘으로
    중요한 두 가지 기능을 가지고 있습니다. 
    하나는 여성호르몬을 만드는 것이고 
    또 하나는 배란을 시키는 것입니다. 
    난포가 성장하고 배란이 되면서 
    여성호르몬은 부수적으로 만들어지게 됩니다.

    사람의 뇌에는 시상하부라는 것이 있는데 
    여기에서 GnRH라는 호르몬이 나오게 됩니다. 
    또 뇌 바로 밑에는 뇌하수체라는 분비샘이 있습니다. 
    GnRH는 뇌하수체를 자극해서 
    난포자극호르몬(FSH)와 황체형성호르몬(LH)라는 호르몬이 나오게 합니다. 
    난소는 이 FSH와 LH의 작용을 받아서 
    배란을 하고 여성호르몬을 만들게 됩니다.

    생리가 시작되면 FSH는 난포를 자라게 합니다. 
    이때 난포는 에스트로겐을 만들게 되고

    난포가 점점커지면서 에스트로겐을 만드는 양도 늘어납니다.

    난포가 충분히 커지면 LH가 작용해서 난포를 터뜨리고

    난포 안에 있던 난자가 밖으로 나와서 배란이 됩니다.

    배란이 된 후에는 난포는 황체라는 것으로 바뀌고

    이 황체는 에스트로겐과 프로게스테론이라는

    두 가지 호르몬을 동시에 만들게 됩니다.

    자궁안에는 내막이라는 조직이 있습니다. 

    자궁 내막은 에스트로겐에 의해 점점 두꺼워지다가

    배란이 된 후에는 프로게스테론에 의해

    수정된 난자가 착상하기에 적당한 모양으로 바뀌게 됩니다.

    만약 수정란이 착상되지 않으면

    황체는 만들어진지 2주 후에 퇴화되고

    에스트로겐과 프로게스테론의 양이 급격히 줄어들어

    자랐던 자궁내막이 떨어져나가게 됩니다, 이것이 월경입니다.

    여성이 나이가 들면 난소의 기능은 점점 퇴화됩니다. 
    그 원인은 난소 안에 있는 
    난자의 수가 줄어들기 때문입니다. 
    여성의 난자는 남성의 정자와 달리 
    계속 생산되는 것이 아니고 
    어머니의 자궁 안에 있을 때 수백만개가 만들어진 다음 
    더 이상 생산되지 않습니다. 
    오히려 난자의 수는 계속 감소해서 
    사춘기 때는 30~40만개 정도가 되고 
    1000개 이하로 줄면 더 이상 난포가 자라지 않게 됩니다. 
    이것이 폐경입니다. 

     

     

    2. 조기난소부전의 원인

     

    대부분의 조기난소부전은 폐경과

    난포의 고갈이 그 원인입니다.

    드물게는 난포의 숫자는 충분하지만

    난포의 성장이 되지 않는 경우에도 발생할 수 있습니다.

    후자의 경우는 FSH의 분비가 잘 되지 않거나

    난포가 FSH에 반응하지 못해서 일어날 수 있습니다.

     

    조기 폐경을 일으키는 원인에는

    감염, 수술, 항암 치료, 방사선 치료 등에 의한 난소 손상과

    애디슨씨 병, 근무력증, 류마티스 관절염, 루프스,

    갑상선 질환과 같은 자가면역성 질환,

    염색체 이상, 유전적 질환, 스트레스나 정신과적 문제,

    무리한 다이어트 등이 제시되지만,

    많은 경우에 조기 폐경의 원인을 정확하게 알지 못합니다. 

    (*양측 난소를 절제한 경우

    증상이 빠르고 심하게 진행됩니다.)

     

    최근에는 이들 환자의 대부분이 유전자 수준에서

    돌연변이 등의 문제가 있다고 보고되고 있습니다.

    지금까지 많은 종류의 유전자 이상이

    조기난소부전과 관련이 있다고 알려져 있지만

    실제 환자를 진료할 때에는 모든 환자에게 

    유전자 검사를 하지는 않습니다.

    왜냐하면 유전자 이상이 있다는 것을 안다고 해도

    환자에 대한 치료가 달라지는 것이 아니고

    질병의 예후도 달라지는 것은 없기 때문입니다.

    이러한 검사는 연구 목적으로 시행하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3. 조기난소부전의 증상(문제점)

     

    가임기의 여성에서 불임이 가장 큰 문제이며,

    그 외에도 일반적인 폐경여성에게 나타날 수 있

    는 모든 증상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에스트로젠 호르몬(estrogen)의 결핍으로 인한

    급성증상으로는 안면홍조, 수면장애, 우울증, 발한 등이 있고,

    만성적인 에스트로젠 결핍과 관련된 것으로는
    비뇨생식계 위축, 골다공증, 관상동맥질환

    및 알츠하이머병 등이 있습니다.

     

    특히 젊은 나이의 폐경은 불면증, 우울증 등

    정신과적 문제가 심화될 가능성이 있습니다.

     

    조기난소부전에 선행되는 특징적인 월경력은 없으며,

    규칙적인 월경후에 갑자기 월경이 멈추거나

    피임약을 끊은 후 혹은 분만후에

    월경이 돌아오지 않는 경우도 있습니다.

     

    ① 혈관 운동 장애 

    안면 홍조, 발한, 두통, 심계항진, 불면, 심한 피로감,

    피부 속으로 뭔가 기어가는 듯한 느낌이 발생합니다.

     

    ② 심리적 증상 

    불안, 우울, 감정 변화, 건망증, 소외감이 있습니다.

     

    ③ 질 등 조직의 건조로 인해

    성관계를 가질 때 불편함이 느껴집니다.

     

    ④ 방광도 영향을 받아 자주 소변을 보고 싶어지거나

    요실금 현상이 나타날 수도 있습니다.

     

    ⑤ 성관계에 대한 의욕이 상실됩니다.

     

    ⑥ 체내 지지 조직의 지지력 상실 및

    뼈의 약화: 요통, 근육통, 관절통,

    골다공증으로 인한 골절이 잦아집니다.

     

     

    4. 조기난소부전의 치료

     

    조기난소부전의 일부 환자는 폐경으로,

    일부는 임신으로 회복될 수도 있습니다.

     

    연구 결과 전체 환자의 5~10%는 임신이 되고

    10~20%에서 난소기능이 회복될 수 있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심지어는 ​무월경이 8년간 지속된 이후에

    주기적 생리가 회복된 경우도 있습니다.

     

    그러나 저절로 임신이 된 경우가 있었다고 해서 

    조기난소부전 환자에게 배란유도제를 

    사용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습니다.
    조기난소부전 여성에게 향후 임신의 가능성은 있으나 

    그 가능성은 희박하다고 말할 수 있습니다. 

    그러므로 임신을 원하는 환자는 

    다른 여성의 난자를 공여 받아 본인의 자궁에 이식하여 

    임신을 하는 방법을 선택하는 것이 최선입니다

     


    1) 호르몬 치료

     조기난소부전 여성은 치료를 받지 않으면

    골다공증, 심근경색, 뇌졸중 등 치명적인 병이 생길 확률이 높아

    호르몬 치료는 반드시 받아야 합니다.

    치료약은 갱년기 치료와 동일하게 에스트로겐이며

    자궁이 없는 여성은 에스트로겐 단독요법을,

    자궁이 있는 여성은 자궁내막암의 위험성으로 인해

    에스트로겐-프로게스테론 복합요법을 시행합니다.

    정상 폐경의 치료에는 매우 소량의 호르몬이 사용되지만

    조기난소부전 여성은 비교적 많은 양의 호르몬을 사용합니다.

    그 이유는 그 나이에 속한 정상 여성 수준의

    여성호르몬 농도를 유지하려는 목적이 있고

    또 폐경 증상의 치료를 위해

    실제로 많은 양의 호르몬이 필요하기 때문입니다.

    호르몬 치료를 통해 부작용의 호전뿐만 아니라

    월경이 재개될 수 있습니다.

    그러나 통상적으로 배란은 일어나지 않습니다.

    또한 골다공증 예방을 위해 정기적인 운동과

    칼슘, 비타민 D의 복용을 호르몬 치료와 병행하면

    뼈의 손실을 예방할 수 있습니다.

     

     

    2) 임신을 위한 치료
    공여 난자를 이용한 시험관 아기 시술

     

    다른 여성의 난자를 기증받아서 

    시험관아기 시술을 받으면 

    조기난소부전 여성도 아이를 가질 수 있습니다. 

    방법은 난소가 정상적으로 기능하는 여성에게 

    과배란 유도를 하여 여러 개의 난자를 키운 후 

    그 난자를 뽑습니다. 

    이 난자에 조기난소부전 여성의 남편의
    정자를 섞어서 수정시키고

    그 수정란을 시험관 안에서 2~3일 배양합니다.

    이렇게 해서 얻은 수정란을

    조기난소부전 여성의 자궁으로 이식합니다.

    이 방법으로 조기난소부전 여성의 

    임신과 출산이 가능하지만 

    태어난 아이는 여성과 유전적으로는 관련이 없습니다. 

    따라서 난자 기증을 받아서 아이를 임신하기로 결정하기 전에 

    충분한 상담을 거쳐야 합니다. 

     


    5. 조기난소부전과 관련한 Q&A

     

    Q. 폐경과 조기난소부전의 차이점은?

    조기난소부전과 정상 폐경은 

    여성호르몬의 분비가 없다는 점과 증상은 동일합니다. 

    그러나 폐경은 노화의 자연스러운 생체 반응인데 반해, 

    조기난소부전은 여러 가지 원인에 의해 

    난소 기능이 손실된 병적인 상태입니다. 

    따라서 여성호르몬 부족에 의한 

    급격한 노화의 시작 시기가 가장 큰 차이입니다. 

    조기난소부전을 치료하지 않으면 

    노화가 훨씬 빨리 진행된다는 뜻입니다.

    또 폐경은 난소 기능이 영원히 정지되는 것에 비해 

    조기난소부전은 드물지만 난소기능의 회복이 가능합니다.

    Q. 임신이 가능한가요?

    자연적으로 또는 에스트로겐 치료 후

    임신이 보고된 경우도 있으나

    임신의 가능성은 지극히 낮다고 말할 수 있습니다. 

    Q.  조기난소부전은 유전이 되나요?

    원인이 무엇이냐에 따라 

    유전될 수도 있고 안될 수도 있습니다. 

    염색체 이상이나 유약 X 증후군의 경우는 

    자녀도 조기난소부전이 될 가능성이 높습니다. 

    Q. 조기난소부전은 예방이 되나요?

    조기난소부전의 발생 예방에 도움이 된다고 

    분명히 알려져 있는 방법은 현재까지 아무것도 없습니다. 

    그러나 이론적으로는 담배를 피우지 않고 

    일반적인 노화예방 수칙을 지키는 것이 도움이 될 것입니다. 

     

    https://questiondoc.tistory.com/115

     

    갱년기 장애 : 폐경과 갱년기 증상, 왜 생기나요?(안면홍조, 근육통, 질건조, 불면 등)

    안녕하세요 궁금하닥입니다. 오늘 포스팅에서는 폐경기 전후에 나타나는 안면홍조, 근육통, 불안, 불면 및 피부건조감, 질위축 등 여러 증상을 아우르는 갱년기 장애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

    questiondoc.tistory.com

    https://questiondoc.tistory.com/116

     

    갱년기 장애 : 폐경과 갱년기 증상의 종류와 관리 및 치료

    안녕하세요 궁금하닥입니다. 지난 포스팅에서 폐경 및 갱년기 관련 용어의 정의와, 여성호르몬과 관련되어 그러한 증상이 유발되는 이유에 대해 포스팅 했었는데요. 지난 글을 읽지 않으신 분

    questiondoc.tistory.com

     

    728x90

    댓글

Designed by Ti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