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CPR(심폐소생술) 하는 법 및 AED(자동심장충격기)건강정보/건강칼럼 2022. 11. 29. 18:42728x90
안녕하세요 궁금하닥입니다.
심정지의 발생은 예측이 어려우며,
60-80%는 가정, 직장, 길거리 등
의료시설 이외의 장소에서 발생되므로
첫 목격자는 가족, 동료, 행인 등 주로 일반인인 경우가 많습니다.
심정지가 발생된 후 4-5분이 경과되면
뇌가 비가역적 손상을 받기 때문에
심정지를 목격한 사람이 즉시 심폐소생술을 시작하여야
심정지가 발생한 사람을 정상 상태로 소생시킬 수 있습니다.
기본 소생술은 심정지가 의심되는
의식이 없는 사람을 발견하였을 때,
구조를 요청하고 가슴압박을 시행하며
심장충격기를 적용하는 심폐소생술의 초기 단계를 말합니다.
1. 심장마비와 심폐소생술
심장은 온몸으로 혈액을 내뿜는 우리 몸의 펌프입니다.
심장마비가 발생하면 온 몸으로의 혈액 순환이 중단되기 때문에,
바로 조치를 취하지 않으면 사망하거나
심각한 뇌손상이 일어날 수 있습니다.
뇌는 혈액 공급이 4-5분만 중단돼도
영구적으로 손상될 수 있습니다.
심폐소생술은 심장마비가 발생했을 때인공적으로 혈액을 순환시키고
호흡을 돕는 응급치료 법입니다.
심폐소생술은 심장이 마비된 상태에서도
혈액을 순환시켜, 뇌의 손상을 지연시키고
심장이 마비 상태로부터 회복하는데 결정적인 도움을 줍니다.
2. 심장마비를 일으키는 주요원인 : 급성심근경색
심장마비를 일으키는 질환은 다양하지만,특히 급성 심근경색은 심장마비를 유발하는
가장 중요한 원인입니다.
심장근육으로 혈액을 공급하는 혈관(관상동맥)이완전히 막혀 혈액 공급이 되지 않는
상태를 급성 심근경색이라고 합니다.
만약 자신이나 주변 사람에게 급성 심근경색의 증세가 있으면,즉시 119에 도움을 요청해야 합니다.
[급성심근경색의 증상]가슴의 가운데가 뻐근하게 아프고, 누르는 듯한 증상,
조여오는 느낌 등 가슴의 불편감이 발생하여 수 분 이상 지속됩니다.
가슴에서 느껴지는 증상이팔, 등, 목, 턱 또는 배의 위쪽 부분으로 퍼져나갑니다.
숨이 차거나 심장이 두근거리고,식은땀, 구역질, 어지러움 등이 함께 발생할 수도 있습니다.
3. 생존사슬
심정지 환자를 소생시키기 위해서는
다음 5개의 응급처치가 연속적으로 시행되어야 하며,
이 과정을 일명 ‘생존사슬’이라 합니다.
병원밖 심장정지 생존사슬: 심장정지
인지/구조요청-심폐소생술-제세동-전문소생술-소생후 치료
병원내 심장정지 생존사슬: 조기 인지/
소생팀 호출-고품질 심폐소생술-제세동전문소생술-소생후 치료[생존사슬의 구체적인 내용]
첫번째 사슬 : 신속한 심정지 확인과 신고
환자를 발견한 목격자가 신속하게 심정지를 인지하고,심정지 환자가 발생했음을 119에 신고합니다.
두번째 사슬 : 신속한 심폐소생술
심정지 목격자가 신속하게 심폐소생술을 실시합니다.
세번째 사슬: 신속한 제세동
심정지 환자가 발생한 현장 주변에 비치되어 있는자동제세동기나 119구급차에 비치된 자동제세동기를 이용하여
현장에서 제세동 처치를 신속하게 실시합니다.
네번째 사슬 : 효과적 전문소생술
심정지 환자가 의료기관에 도착한 뒤에의료진에 의한 효과적인 전문소생술이 시행됩니다.
다섯번째 사슬 : 심정지 후 통합치료
심정지 환자의 심작박동이 회복된 뒤에전문 의료기관에서 저체온 치료, 관상동맥중재술 등의
통합적인 중환자 치료가 시행됩니다.
4. 심폐소생술 시행방법
출처 : 삼성서울병원 STEP 01 반응의 확인
현장의 안전을 확인한 뒤에(중요*) 환자에게 다가가어깨를 가볍게 두드리며, 큰 목소리로 "여보세요, 괜찮으세요?" 라고 물어본다.
의식이 있다면 환자는 대답을 하거나
움직이거나 또는 신음 소리를 내는 것과 같은 반응을 나타냅니다.
반응이 없다면 심정지의 가능성이 높다고 판단해야 합니다.
*감전 등 환자에게 심정지를 일으킨 환경일 수 있으니 주의해야 합니다.
STEP 02 119신고
환자의 반응이 없다면즉시 큰 소리로 주변 사람에게 119 신고를 요청하며
주변에 아무도 없는 경우에는 직접 119에 신고합니다.만약 주위에 심장충격기(자동제세동기)가 비치되어 있다면
즉시 가져와 사용해야 합니다.
STEP 03 호흡 확인쓰러진 환자의 얼굴과 가슴을 10초 이내로 관찰하여
호흡이 있는지를 확인하도록 합니다.
환자의 호흡이 없거나 비정상적이라면심정지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합니다.
일반인은 비정상적인 호흡 상태를 정확히 평가하기 어렵기 때문에응급 의료 전화상담원의 도움을 받는 것이 바람직합니다.
STEP 04 가슴압박 30회 시행출처 : 질병관리청 손상예방관리과
환자를 바닥이 단단하고 평평한 곳에등을 대고 눕힌 뒤에 가슴뼈(흉골)의 아래쪽
절반 부위에 깍지를 낀 두 손의 손바닥 뒤꿈치를 댑니다.
손가락이 가슴에 닿지 않도록 주의하면서,양팔을 쭉 편 상태로 체중을 실어서
환자의 몸과 수직이 되도록 가슴을 압박하고,
압박된 가슴은 완전히 이완되도록 합니다.
가슴 압박은 성인에서 분당 100~120회의 속도와
약 5cm 깊이(소아 4~5 cm)로
강하고 빠르게 시행합니다.
'하나', '둘', '셋', ..., '서른'하고 세어가면서 규칙적으로 시행하며,
압박된 가슴은 완전히 이완되도록 합니다.
STEP 05 인공호흡 2회 시행
환자의 머리를 젖히고,턱을 들어 올려 환자의 기도를 개방시키도록 합니다.
머리를 젖혔던 손의 엄지와 검지로
환자의 코를 잡아서 막고, 입을 크게 벌려
환자의 입을 완전히 막은 후
가슴이 올라올 정도로 1초에 걸쳐서 숨을 불어넣습니다.
숨을 불어넣을 때에는
환자의 가슴이 부풀어 오르는지 눈으로 확인합니다.
숨을 불어넣은 후에는 입을 떼고 코도 놓아주어서
공기가 배출되도록 합니다.
인공호흡 방법을 모르거나, 꺼려지는 경우에는
인공호흡을 제외하고 지속적으로
가슴압박만 시행해도 괜찮습니다.(가슴압박 소생술)
STEP 06 가슴압박과 인공호흡의 반복이후에는 30회의 가슴압박과 2회의 인공호흡을
119 구급대원이 현장에 도착할 때까지 반복해서 시행합니다.
다른 구조자가 있는 경우에는한 구조자는 가슴압박을 시행하고
다른 구조자는 인공호흡을 맡아서 시행하며,
심폐소생술 5주기(30:2 가슴압박과 인공호흡 5회)를 시행한 뒤에
서로 역할을 교대하도록 합니다.
STEP 07 회복자세가슴압박 소생술을 시행하던 중에
환자가 소리를 내거나 움직이면,
호흡도 회복되었는지 확인합니다.
호흡이 회복되었다면, 환자를 옆으로 돌려 눕혀
기도(숨길)가 막히는 것을 예방합니다.
그 후 환자의 반응과 호흡을 관찰해야 합니다.
환자의 반응과 정상적인 호흡이 없어진다면
심정지가 재발한 것이므로
신속히 가슴압박과 인공호흡을 다시 시작합니다.
** 병원밖 심장정지 환자에게
가슴압박소생술(인공호흡 제외)을 한 경우와
표준 심폐소생술(인공호흡 포함)을 한 경우에
생존율 차이는 없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따라서 병원 밖에서 일반인 목격자가 심폐소생술을 할 때,
인공호흡을 할 의지가 없는 경우에는
가슴압박소생술을 하도록 권고하고 있습니다.
인공호흡을 교육받았고 시행할 의지가 있다면30:2로 가슴압박과 인공호흡을 시행하며,
자동심장충격기를 사용할 수 있으면
음성지시에 따라 제세동을 시행하도록 합니다.
심폐소생술 중 심장 리듬을 확인하기 위해 2분마다
가슴압박을 중단하는 것을 고려할 수 있습니다.5. 자동심장충격기(AED, 제세동기) 사용법
자동심장충격기(AED)란 심실세동환자들에게
극히 짧은 순간에 강한 전류를 심장에 통과시켜서
대부분의 심근에 활동전위를 유발하여
심실세동이 유지될 수 없도록 함으로써
심실세동을 종료시키고
심장이 다시 정상적인 전기활동을 할 수 있도록 유도하는 것입니다.
*심실세동 : 심장의 박동에 의해서심실의 각 부분이 불규칙적으로 수착하는 상태
자동심장충격기 위치 찾기
https://www.e-gen.or.kr/egen/search_aed.do
자동심장충격기(AED) 찾기-지도 | E-GEN통합홈페이지
www.e-gen.or.kr
STEP 01 전원 켜기
심장충격기(자동제세동기)는 반응과 정상적인 호흡이 없는
심정지 환자에게만 사용해야 하며,
심폐소생술 시행 중에 심장충격기(자동제세동기)가 도착하면
지체 없이 적용해야 합니다.
먼저 심장충격기(자동제세동기)를
심폐소생술에 방해가 되지않는 위치에 놓은 뒤에
전원 버튼을 누릅니다.
(전원이 켜지면 음성안내가 시작되며 이를 차근차근 따르면 됩니다.)
STEP 02 두 개의 패드 부착패드 1 : 오른쪽 빗장뼈 아래
패드 2 : 왼쪽 젖꼭지 아래의 중간겨드랑선
패드 부착부위에 이물질이 있다면 제거하며,
패드와 심장충격기(자동제세동기) 본체가
분리되어 있는 경우에는 연결하도록 합니다.
STEP 03 심장리듬 분석
"분석 중..."이라는 음성 지시가 나오면,
심폐소생술을 멈추고 환자에게서 손을 뗍니다.
심장충격(제세동)이 필요한 경우라면
"심장충격(제세동)이 필요합니다"라는 음성 지시와 함께
심장충격기(자동제세동기) 스스로 설정된 에너지로 충전을 시작합니다.
심장충격기(자동제세동기)의 충전은 수 초 이상 소요되므로
이 시간 동안 가능한 가슴압박을 시행합니다.
심장충격(제세동)이 필요 없는 경우에는
"환자의 상태를 확인하고, 심폐소생술을 계속 하십시오"라는 음성 지시가 나오며,
이 경우에는 즉시 심폐소생술을 시작합니다.
STEP 04 심장충격(제세동) 시행
심장충격(제세동)이 필요한 경우에만
심장충격(제세동) 버튼이 깜박이기 시작합니다.
깜박이는 버튼을 눌러 심장충격(제세동)을 시행하면 되는데
심장충격(제세동) 버튼을 누르기 전에는 반드시
다른 사람이 환자에게서 떨어져 있는지 확인하여야 합니다.
STEP 05 즉시 심폐소생술 다시 시행
심장충격(제세동)을 실시한 뒤에는
즉시 가슴압박과 인공호흡을 30:2로 다시 시작합니다.
심장충격기(자동제세동기)는 2분마다
심장리듬을 반복해서 분석하며,
이러한 심장충격기(자동제세동기)의 사용 및 심폐소생술의 시행은
119 구급대가 현장에 도착할 때까지 지속되어야 합니다.728x90'건강정보 > 건강칼럼'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올바른 약 복용법 (0) 2022.12.06 기도 폐쇄 응급처치 - 하임리히법 (성인 소아 및 영아) (0) 2022.11.30 미숙아 망막병증(신생아 망막병증) : 원인과 진단 및 치료의 발전 (0) 2022.11.23 코로나19 동절기 추가접종 : 코로나 19 백신 (0) 2022.11.21 당뇨병 치료제 Metformin(메트포르민) : 항노화, 항암효과? (0) 2022.11.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