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추 추간판 탈출증(허리 디스크) : 어떤 증상일까? :: 궁금하닥(QuestionDoc)

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요추 추간판 탈출증(허리 디스크) : 어떤 증상일까?
    건강정보/근골격계 2022. 3. 16. 19:00
    728x90

     

    안녕하세요 궁금하닥입니다.

     

    오늘은 허리 통증으로 많은 분들이 호소하는 질환이죠

    요추 추간판 탈출증, 일명 허리 디스크에 대해

    정의, 원인, 증상, 진단에 대해 알아보는 첫번째 시간입니다.

    다음포스팅에서는 추간판 탈출증의 관리 및 수술 적응증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1. 추간판 탈출증의 정의?

    척추뼈 사이에는 쿠션 같은 역할을 하는 '디스크(disc, 추간판)'라는

    말랑말랑한 젤리 같은 구조물이 있습니다.

    디스크의 가운데는 말랑말랑한 수핵이 위치하며

    그 주변에 수핵을 둘러싸는 '섬유륜'이라는 두꺼운 막이 있습니다. 

     

    디스크는 일어선 상태에서는 중력을 받아 납작해져서

    바깥쪽으로 약간 볼록한 형태가 됩니다.

    디스크는 그 특수한 구조 때문에 어느정도 힘이 가해져도 버틸 수 있지만,

    과다한 부하로 인해 수핵이 섬유륜을 찢고 나가면서 추간판 탈출증이 발생합니다.

     

    이때 디스크는 대개 후방이나 후외방으로 돌출되는데,

    섬유륜의 콜라겐 배열이 후방 외측부가 가장 약하기 때문입니다.

    디스크가 돌출되면 바로 곁에 있는 신경을 누르게 되면서

    요통 및 다리가 아프고 저린 증상을 일으키게 됩니다.

    척추뼈 어디에서나 발생 할 수 있지만, 허리에서 가장 높은빈도로 발생합니다.

    (빈도 : L4/5 > L5/S1 > L3/L4)

     

    * 드물지만 중앙탈출의 경우 마미신경총를 압박하여

    비가역적인 장과 방광기능의 손상을 가져오기도 합니다.

     

     

    2. 추간판 탈출증의 원인?

     

    정확한 원인은 아직 밝혀지지 않아 어떠한 원인도 없었던 경우가 대략 60%이며

    물건을 들어올리는 행위, 무리한 허리 운동, 또는 외상 등이 40% 였다고 보고 되고 있습니다.

     

    추간판 돌출은 남자에게 많으며, 나이가 들수록 디스크 돌출의 빈도가 높아집니다.

    나이가 들면 디스크 내부의 수분 함량이 줄어들면서 디스크가 탄력을 잃게 되는데,

    탄력을 잃은 디스크에 무리한 힘이 가해지면 디스크가 돌출된다는 가설이 있습니다.

    하지만 10세의 어린아이에서도 디스크가 발생하는 것으로 보아

    노화 현상만으로 다 설명할 수는 없습니다.

     

     

    3. 추간판 탈출증의 증상

     

    디스크는 팽륜, 돌출, 탈출, 부골화 순서로 점차 진행될 수 있습니다.


    0) 팽윤 : 섬유륜과 후종인대가 단절되지 않고 늘어난 상태

    수핵성분이 추간판의 중심에서 섬유륜 속으로 이동.

    가장 바깥쪽 섬유륜의 섬유모양에는 어떤 변화도 일으키지 않은 상태입니다.

     

    1) 돌출형 : 수핵성분이 가장 바깥쪽 윤상 섬유를 부풀게 한 경우로

    섬류륜은 단절되지만 후종인대는 보존됩니다.

     

    2) 탈출형 섬유륜과 후종인대가 모두 단절됩니다.

    일부 수핵물질이 섬유륜의 섬유를 모두 지나서 탈출하였지만

    추간판 내에서 수핵의 연속성은 유지된 상태입니다.

     

    3) 부골화 : 수핵의 일부가 밖으로 떨어져 나오며

    척추관 속에 자유롭게 떠다니는 조각으로 존재하게 됩니다.(격리형)


    초기증상은 요천추부 통증이 미만성으로 나타나며 체위 변경 어려움을 겪습니다.

    이환부위를 압박하거나 두들기면 국소동통이 느껴지며

    이환된 쪽 하지방사통, 기능적 척추 측만 동반하기도 합니다.

    천장관절부, 둔부, 서혜부, 대퇴부에 나타나는 통증으로 국한되는 경우도 있으나

    전형적인 경우 무릎밑으로 발가락까지 방사통 발생합니다.

     

    통증은 갑자기 시작되거나 서서히 발생하며

    앉거나 설 때, 걸을 때, 기침이나 재채기 시에 더 악화됩니다.

     

    * 허리통증 : 섬유륜 바깥층과 후종인대의 통각섬유 의 자극으로 발생

    * 하지방사통 : 수핵 탈출에 의한 신경근의 압박으로 발생. 신경 분절에 따라 나타남 

     

     

    자세적 특징으로 기능성 측만이 나타나는데 신경근 자극을 줄이기 위한 자세로

    측만 자세가 유발되는데 추간판이 돌출되는 부위에 따라 측만의 방향이 좌우됩니다. 

     

    추간판 돌출로 신경이 압박되면 하퇴부의 근육위축과

    압박받는 신경이 지배하는 근육의 힘이 약화됩니다.

    근육의 힘이 감소될 정도면 디스크 돌출 증세는 심하다고 할 수 있습니다. 

    전경골근 관련 운동장애 시 계단 내려가기가 힘들어 지는 반면

    비복근, 가자미근 관련 운동장애는  계단을 오르기가 힘들어 집니다.

     


    [신경근별 통증 및 감각저하 부위]

     

    L3/4 (L4신경근)

    통증 : 하둔부, 둔부, 대퇴외측, 소퇴 전내측, 엄지

    감각저하 : 대퇴, 슬관절 전내측

    약화된 동작 : 쪼그렸다 일어서기(대퇴사두근)

    +전경골근 약화, 정강이 부위 감각장애, 비대칭적 슬개건 반사

     

    L4/5 (L5신경근)

    통증 : 천장관절, 고관절 외측, 소퇴 후면

    감각저하 : 발등, 엄지, 족삼리(족배부와 무지 사이)

    약화된 동작 : 발뒤꿈치로 걷기(foot drop)

    +장무지신근 약화

     

    L5/S1 (S1신경근)

    통증 : 천장관절, 후외방 대퇴, 소퇴외측

    감각저하 : 오금, 새끼, 하퇴후면(족외측)

    약화된 동작 : 발끝으로 걷기

    +무지굴근과 종아리 부위 근육의 약화, 종아리 후방의 통증과 뻐근함, 비대칭적 아킬레스건반사

     


    4. 추간판 탈출증의 진단?

     

    1) 하지 직거상 검사(Straight leg raising test)

     

     환자를 침대에 눕히고, 한쪽 다리를 무릎을 편 상태를 유지하면서

    반대쪽 다리와 번갈아서 들어 올려 보는 검사입니다.

    정상적인 사람은 다리를 70도 이상 들어 올릴 수 있지만,

    허리 디스크 환자는 허리와 엉덩이, 다리에 심한 통증이 오기 때문에

    들어 올릴 수 있는 각도가 제한됩니다.

    돌출된 디스크로 신경이 심하게 눌릴수록 각도가 심하게 제한됩니다.

    기본적으로 동측의 다리를 들어올릴 때 통증이 유발되며

    건강한 쪽 먼저 검사해야 합니다.

     간혹 한쪽 다리를 들어 올릴 때 반대쪽 다리까지 심하게 아픈 환자가 있는데

    이는 신경이 심하게 눌려 있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

     Bragard test

    S.L.R. 검사상 통증이 있는 부위에서 하지를 약 5도 낮춘 뒤

    족관절을 배측굴곡 시킵니다. (슬괵근 배제)

    Lasegue test, Bowstring sign, Slump test

     

     

    2) 신경 검사
    하지 직거상 검사로 디스크인지 아닌지 판단한 후에,

    하지의 근력, 감각, 신경 반사 세 가지를 검사하여 신경의 기능에 이상이 있는지 평가합니다.

     

    3) 단순 방사선(Simple Radiography, X-ray)

    단순 방사선 사진은 추간판 탈출증 자체의 진단보다는

    종양, 결핵, 척추 분리증 등 척추뼈 자체의 이상을 감별하거나

    척추 및 주변구조물의 병변 등을 일차적으로 평가하는데 도움을 줍니다.

     

    4) 척수강조영술(Myelography)

    요추 천자 후 척수의 지주막하강 내로 비이온성 조영제를 주사하여 척수신경의 병변을 촬영합니다.
     병변 부위를 명확히 확인할 수 있으며,

    특히 CT와 병용 시에는 종양 등 타질환을 감별하는 데 큰 도움이 됩니다. 

     

    5) 추간판조영술 (Discography)

    방사선 투시로 확인하면서 천자침을 요부의 원하는 척추간판 내에 삽입한 다음

    추간판 내에 조영제를 주입하고 방사선 촬영을 하여

    척추간판의 파열 여부 및 그 방향을 알아내는 검사방법입니다.

    척추간판의 퇴행성 변화 및 탈출 상태 등을 검사하는데 도움을 주는 검사 이지만

    실제로 척추간판 탈출증 진단에는 별로 이용되지 않고 있습니다.
    또한 미세한 탈출을 잘 보여주며 다발성 추간판 탈출 시

    증상을 일으킨 추간반 탈출을 찾는 데 유용합니다.

     

    6) 전산화 단층 촬영(CT)

     요추와 주위 구조물에 대한 단면도를 볼 수 있어 병변 부위를 확인하는데 도움이 되며,

    뼈의 구조 및 관계를 살피는 데는 자기공명 영상보다 우월합니다.

    특히 수술 전에 병변 부위의 파악을 위해 필수적입니다.

     

    7) 자기공명영상(MRI)

    최근 가장 많이 사용되는 방법으로,

    척추의 디스크 돌출과 파열을 종으로 절개한 단면으로 보여줌으로써

    정확하고 쉽게 진단할 수 있는 검사입니다.

     

    8) 컴퓨터 적외선 체열 영상 검사법(DITI)

    인체에서 방출되는 적외선을 촬영하여

    질병부위의 미세한 체온변화를 나타냄으로써 신체이상을 진단하는 방법입니다.

     

    추간판 탈출증의 수술 적응증 및

    일상생활 관리, 주의사항 등에 대해서는 

    다음 포스팅에서 이어서 하도록 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https://questiondoc.tistory.com/16

     

    요추, 골반근육 -1. 척추의 주요 근육 : 요추 다열근, 최장근, 장늑근

    안녕하세요 궁금하닥입니다. 오늘은 요추, 골반부 근육 첫번째로 만성 요통에서 꼭 치료해줘야 하는 근육들인 요추 다열근과 최장근, 장늑근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1. 요추 다열근(Multifidus, 뭇

    questiondoc.tistory.com

    https://questiondoc.tistory.com/18

     

    요추, 골반근육 -2. 요통의 원인 : 요방형근, 장요근

    안녕하세요 궁금하닥입니다. 오늘은 요추, 골반부 근육 두번째로 요통에서 꼭 압통을 확인하고 풀어줘야 하는 근육들인 요방형근과 장요근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1. 요방형근(Quadratus lumborum,

    questiondoc.tistory.com

     

    728x90

    댓글

Designed by Ti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