척추 후관절증후군 : 아침에 일어나면 허리가 아파요(Facet joint syndrome) :: 궁금하닥(QuestionDoc)

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척추 후관절증후군 : 아침에 일어나면 허리가 아파요(Facet joint syndrome)
    건강정보/근골격계 2022. 4. 4. 18:41
    728x90

     

    안녕하세요 궁금하닥입니다.

     

    오늘은 등 뒤에 뜨끔한 통증,

    오래 서있을 때 허리의 통증을 유발하는 원인인

    척추 후관절 증후군에 대해 간단하게 알아보겠습니다.

     

    1. 척추 후관절 증후군?

    Facet (joint) syndrome
    Z-joint syndrome

    후관절증후군이란 후관절 부위의 퇴행 관절염이나 염좌, 분절 불안정 등에 의해

    후관절을 지배하는 감각신경이 염증에 의해 자극되어 발생하는 질환입니다.

    만성요통의 15~52%를 차지하며,

    후관절증후군이 의심되는 경우 허리디스크(추간판탈줄증)이나 척추협착증과 같은

    신경근 기원의 통증과는 구분되어야 해야합니다.

     

    후관절은 활액막으로 덮여 있는 윤활관절이며,

    척추뼈후외측에 위치해 체중 부하를 전달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또 척추관절을 안정화 하고 몸을 비트는 동작을 할 때

    과도한 회전이 일어나지 않도록 작용하는 관절입니다.

      

    후관절증후군의 원인은 명확하지 않지만,

    나이와 반복적이고 과도한 허리의 사용, 상해
    및 척추 전만의 증가, 비만, 골다공증, 척추분리증 등이 고려되고 있습니다.

     

     

    2. 척추 후관절 증후군의 증상


    기상 시 허리가 뻣뻣하나 움직임에 의해 호전
    허리 신전 및 회전 시, 오랜 기립 시 악화, 
    누우면 완화
     척추 인접부위 압통
    옆구리와 엉덩이, 다리 쪽으로의 연관통
    무릎 이하로 전이되지 않는 통증


    기본적으로 특징이 없는 만성 요통이 있으며,
    급성기의 후관절 통증은 간헐적이고 예측할 수 없으며

    1개월 혹은 1년에 몇 번씩 발생한다는 특징이 있습니다.


    대부분의 환자들은 염증이 생긴 후관절 부위에 국소적 압통을 호소하며

    척추 주변 근육의 긴장이 나타납니다.
    대체로 몸을 뒤로 젖힐 때 통증이 심해지며,
    몸을 앞으로 숙이거나 아픈 쪽으로 몸을 회전시킬 때

    통증이 감소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아침에 잠자리에서 일어날 때 허리가 불편하지만

    일어나서 몸을 움직이면 통증이 줄어드는 양상을 보이며,
    잠자리에서 뒤척일 때도 허리가 아프고

    앉았다 일어날 때 허리가 쉽게 펴지지 않으며 통증을 호소합니다.

     


    후관절에서 생긴 허리 통증은 종종 엉덩이, 대퇴후면으로 이어지는데,

    방사통은 대퇴전면으로는 거의 나타나지 않고

    무릎 아래나 발로도 거의 나타나지 않는데

    이는 요추추간판탈출증과 구분되는 특징입니다.

     

     

    3. 척추 후관절 증후군의 진단 및 치료

     

    척추 후관절 증후군의 경우 X-ray나 CT, MRI 상

    척추의 퇴행성 변화를 보이는 경우가 많으나,

    척추의 퇴행성 변화가 보인다고 후관절 증후군을 진단 할 수는 없습니다. 
    이학적 검사인 Kemp`s test, Spring test에서 양성 소견을 보이기도 합니다.


    로컬에서는 보통 척추 후관절 부위의 통증을 담당하는 감각신경에 주사치료를 한 뒤
    1-2일 내 심한 통증이 완화되는 경우 진단을 내리는 경우가 많습니다.

    치료방법으로 근 이완제, 소염제 등의 약물 요법 및
    X-선 투시하에 후관절로 주행하는 후지내측지신경차단이나 

    후관절강내 스테로이드주사요법을 활용하는데,
    신경차단이나 후관절내 염증이 줄게 되면 

    척추 관절 및 허리심부 근육으로의 이완효과를 보게 되어 통증이 완화되게 됩니다. 

    한방에서는 해당 척추분절과 위, 아래 후관절면에 자침하는 침치료 및 추나치료로 

    측와위 요추신연기법, 척추 굴곡신연기법 등을 활용하여 

    근육을 이완/강화시키고 불균형한 근육의 밸런스를 맞춰주어 

    통증 완화에 도움을 줍니다.

     

     

    728x90

    댓글

Designed by Ti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