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아리 파열, 비복근 파열 : 테니스 레그(Tennis leg), 운동 중 발생한 갑작스러운 종아리 통증! :: 궁금하닥(QuestionDoc)

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종아리 파열, 비복근 파열 : 테니스 레그(Tennis leg), 운동 중 발생한 갑작스러운 종아리 통증!
    건강정보/근골격계 2022. 4. 3. 18:28
    728x90

     

    안녕하세요 궁금하닥 입니다.

     

    오늘은 생각보다 흔하게 겪는 증상으로

    환자분들은 처음에 종아리에 쥐난 줄 알기도 하는데요.

    다리의 강한 통증으로 보행이 어려워지는 종아리 근육의 파열,

    정확히는 비복근 파열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비복근의 근육학 관련 내용은

    아래 링크를 참고해주세요

     

    https://questiondoc.tistory.com/40

     

    하지근육 -5. 비복근 : 종아리에 자꾸 쥐가 나요

    안녕하세요 궁금하닥입니다. 오늘은 종아리 뒤쪽에 위치한 근육이죠, 쥐나듯이 아픈 통증과 아킬레스 건염에 유의해야 되는 비복근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1. 비복근(Gastrocneminus, 장딴

    questiondoc.tistory.com

     

     

    1. 비복근 파열의 정의

     

    '비복근 파열’ 시 종아리에서 뚝 소리가 나면서 심한 통증이 생기게 됩니다.

    테니스다리(tennis Leg)로도 불리며, 갑자기 방향을 바꾸거나 과도한 힘이 들어갈 때

    종아리 근육이 찢어지면서 손상이 생기는 것을 말합니다.

     

    근육은 늘어나지만 본래 모습으로 돌아가려는 성질이 있어

    갑자기 수축하면 파열될 수 있습니다.

    때문에 이전 동작과 상반되는 동작을 갑자기 하는 경우 등

    순간적으로 종아리 근육을 쓸 때 종아리 근육 파열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일상 생활보다는 축구, 야구 등의 활동적인 운동 시 발생하기 쉽고

    갑작스러운 움직임 특히 점프를 하거나

    급작스럽게 달리기를 시도할 때 주의가 필요합니다.

     

    그러나 비복근 파열은 운동할 때만 발생하는 질환은 아닙니다.

    평소 운동을 하지 않거나 스트레칭에 소홀한 경우

    높은 계단을 갑자기 오르거나, 갑자기 뛸 경우 등의

    평범한 일상생활에서도 나타날 수 있습니다.

     

     

    2. 비복근 파열의 증상

     

    비복근 파열 시, 뚜둑 소리가 난 뒤 일시적으로 움직이기 힘들어지는 것이 특징입니다.

    손상 직후에는 종아리 근육이 심하게 당기기 때문에 쥐가 나거나

    단순 근육 긴장 등으로 생각하기 쉽지만

    시간이 지나도 통증이 계속되고 잘 걸을 수 없다면 근육 파열을 의심해 봐야 합니다.

    종아리 근육이 손상되면 무릎이나 발목을 굽히는 데 지장을 주기에

    보행이 어려워지게 됩니다.

     

    또한 비복근은 주로 족저굴곡, 발을 아래로 내리는 역할을 합니다.

    비복근에 문제가 있을 시 걸을 때 발을 땅에 잘 디디지 못하게 되고,

    발을 위로 젖히는 족배굴곡(Dorsiflexion)에도 문제가 생기게 됩니다.

     

    파열은 주로 비복근의 내측부분에서 잘 발생합니다.


    [비복근 파열의 의심 증상]

     

    • 파열 시 뚝 하는 소리와 함께 공에 맞은 듯한 강한 통증이 나타난다.
    • 주로 종아리 위쪽의 내측에서 통증이 발생한다.
    • 쥐가 나는 것과 달리 통증이 심해 걷기 힘들고, 특히 체중을 실어 발가락 끝으로 걷기가 어려워진다.
    • 종아리 부위의 근육이 심하게 당기거나 근육통이 발생한다.
    • 종아리 부위를 누르면 통증이 심하게 나타난다.
    • 파열된 부분이 볼록하게 튀어나온다.
    • 출혈로 인해 종아리 안쪽에 피가 고이고, 며칠 뒤에 피멍이 퍼지게 된다.
    • 심한 경우 근육이 패여 육안으로도 파열을 확인할 수 있다.

     

     

    3. 비복근 파열의 진단

     

    비복근 파열은 비복근 부위에 압통, 종창이 있는 것으로 파열 확인이 가능합니다.

    정확한 진단을 위해서는 초음파검사나 MRI 촬영이 필요할 수 있습니다.

     

    1도 손상

    10%정도의 근섬유가 영향을 받는 경우

    하지 뒤쪽에서 찌릿한 통증을 느낍니다.

    계속 걸을 수는 있으나 불편함을 느낍니다.

     

    2도 손상

    근육파열의 정도가 50%까지 이른 경우

    보행 시 날카로운 통증을 느끼고,

    종아리 부위가 부어오르고 멍이 들 수 있습니다.

     

    3도 손상

    파열 정도가 완전 파열에 가까운 경우

    통증에 의해 보행이 불가능

    큰 멍이 들며 부종과 함께

    근육 자체를 만지는 것이 힘들어집니다.

     

     

    4. 비복근 파열 시 관리 및 치료

     

    종아리근육파열의 초기 치료는 근육, 인대의 급성 손상 시 대처법과 동일합니다.

     

    증상이 나타나면 바로 얼음찜질로 내부 출혈을 지혈하는 것이 필요하고,

    그 뒤로 손상 된 근육 부위를 테이핑 등으로 고정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심하지 않은 경우에는 얼음 찜질 후에 온찜질로 근육을 풀어주는 것이 좋습니다.

    파열 즉시 온찜질이 아닌 냉찜질을 하는 이유는

    근육이 파열되어 발생할 수 있는 내부 출혈의 지혈을 위한 대처입니다.

     

    누운 상태에서 다리 밑에 쿠션이나 베개 등을 놓고

    다리를 그 위에 올려 두는 것도 빠른 회복에 도움이 됩니다.

     

     

    증상이 약한 1도 파열의 경우 냉찜질과 압박붕대, 물리치료 등을

    통해 증상을 완화할 수 있습니다.

    근육의 손상이 심한 2도 파열의 경우 주사치료

    및 일정 기간 동안 깁스 등으로 고정치료를 시행합니다.

    완전 파열로 발목을 구부릴 수 없는 3도 파열의 경우

    수술적 치료를 고려해야 합니다.

    (흔하지는 않지만 근육 파열부에서 출혈이 지속되면

    근육을 봉합하고 혈종을 제거하는 수술을 하기도 합니다.)​

     

    근육 파열 후 회복기간은 환자분의 상태에 따라 다릅니다.

    대개 1-2주 정도 걸리고 간혹 두 달 이상 휴식이 필요한 경우도 있습니다.

     

    종아리 근육 파열을 예방하기 위해 가장 중요한 것은

    무리한 운동을 삼가고, 특히 테니스와 야구, 축구와 농구 등

    이전 동작과 상반되는 움직임이 잦은 운동을 할 때에는

    준비 운동을 충분히 해야 합니다.

     

     

    5. 비복근 파열의 재활 운동

     

     

    초기에는 움직임을 최소화해야 하지만 완전히 회복한 후 걷거나 운동 할 때

    근육의 제한이 생기는 것을 막기 위해서는 통증이 발생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꾸준히 스트레칭을 하는 것이 좋습니다.

     

    바닥에 다리를 펴고 앉아

    무릎을 굽히지 않은 상태에서 발목을 몸 쪽으로 당겨주거나,

    한쪽 다리를 뒤로 한 채 벽을 미는 스트레칭을 평소 꾸준히 해 주면

    종아리 근육 파열의 예방 및 치료에 도움이 됩니다.

    728x90

    댓글

Designed by Ti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