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무릎 통증(슬통, knee pain) : 앞, 뒤, 옆 쪽 무릎 통증의 여러가지 원인은?!건강정보/근골격계 2022. 4. 19. 18:54728x90
안녕하세요 궁금하닥입니다.
오늘은 슬통, 무릎 통증을 야기하는
여러가지 원인들에 대해
간단하게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1. 슬개대퇴통증 증후군(Patella-femoral synndrome, PFPS)
무릎 관절은 슬개골, 슬개-대퇴관절, 슬개골하 인대, 내측과 외측 슬개 인대,
대퇴사두근의 협동 작용을 통하여 움직이게 됩니다.
이러한 협동 작용에 문제가 발생하여무릎의 통증이 발생하는 질환을 슬개 대퇴 통증 증후군이라고 하며
연골연화증, 대퇴사두근 건염 등이
여기에 해당되는 질환입니다.
무릎 통증의 원인 중에서 20~30%를 차지할 만큼 흔한 질환이며
젊고 적극적인 신체 활동을 하는 사람에서 호발하며,
남자가 여자보다 2배가량 유병률이 높습니다.
2. 대퇴사두근 건염(Quadriceps tendonitis)
"무릎 앞쪽의 통증"
슬개골 위쪽에는 대퇴사두근건이 있으며, 아래쪽에는 슬개건이 위치하여
대퇴사두근건에 염증이 발생하면 대퇴사두근 건염이라고 하며,
슬개건에 염증이 발생하면 슬개건염이라고 부릅니다.
두 질환이 비슷한 원인에 의해서 유발되므로 함께 발병하는 경우도 많습니다.슬개건염의 발생 빈도가 훨씬 높으며, 치료 기간도 긴 편입니다.
주로 허벅지 앞쪽 통증 혹은 무릎 위쪽 통증을 호소하는데
슬개골의 바로 위쪽 힘줄인 무릎 중앙에 통증이 나타납니다.
경미한 정도부터 열감, 극심한 고통을 호소하는 정도까지 다양하게 나타날 수 있으며
특히 아침에 일어난 후, 운동을 하거나 끝난 후에 뻣뻣한 느낌이 있는 경우
대퇴사두근 건염을 의심할 수 있습니다.
축구, 배구 등의 스포츠를 하며 과도하게 하체를 사용을 하거나
무릎 정렬상태에 이상으로 인해 누적되는 스트레스,
자극, 손상 등으로 인해 대퇴사두근건염이 발생합니다.
대개 발병원인(과도한 스트레스)을 제거하고 휴식을 취하면
자연적으로 치유되지만, 완전히 파열이 발생한 경우에는 수술이 필요합니다.
파열이 발생한 경우 돌맹이로 때린 것 같이 아프며
보행에 어려움을 호소합니다.
(*rupture의 경우 비복근이 더 흔합니다.)
비복근 파열로 인한 테니스 레그에 대한 설명은
아래 링크를 참고하시길 바랍니다.
https://questiondoc.tistory.com/60
https://questiondoc.tistory.com/35
3. 슬개건염(patella tendoinitis) =jumper's knee
슬개건염은 무릎의 슬개골과 경골조면에 연결된 슬개건에
염증이 발생하여 통증이 나타나는 질환입니다.
무릎의 좌우보다는 중앙부 하단에 통증이 나타나게 되는데
그 부분에 슬개건이 위치하기 때문입니다.
슬개건 부위를 누르면 압통이 나타날 수 있으며,
걷기, 뛰기 등을 하게 되면 통증이 더욱 심해지게 됩니다.
증상이 악화되는 경우 무릎에 부종이 발생하여
부어오르는 문제가 발생하기도 합니다.
도약선수(Jumper' knee)의 다리라 불리기도 하는데
그만큼 높이 점프를 하거나 반복해서 무릎을
구부렸다 폈다 하는 동작과 밀접한 관련이 있습니다.
갑작스럽게 많은 운동을 하는 경우에 잘 발생합니다.
4. 슬개골 연골연화증
슬개골 연골연화증이란 과도한 사용으로 인하여
무릎을 굽히거나 펼 때 부드럽게 미끄러지던 슬개골이
대퇴뼈와 충돌을 하면서 연골이 손상되는 질환입니다.
현재는 슬개 대퇴 통증 증후군이라는 병명으로 함께 사용되고 있습니다.
활동량이 많은 젊은 여성에게서 자주 발생하며
활동시 심화되고 휴식시 완화되는 특징을 가지고 있습니다.
가장 흔한 증상은 무릎 관절 앞쪽의 둔한 통증입니다.
처음에는 통증이 아니라 모호한 불편감으로 느껴지는 경우가 많습니다.
장시간 동안 책상 또는 의자에 무릎을 구부린 상태로 앉아 있다가 일어서면
통증과 함께 뻣뻣한 느낌이 생길 수 있는데
오래 앉아서 영화를 본 후에 잘 나타나기 때문에
'극장 징후(cinema sign)'라고 하기도 합니다.
또 관절의 마찰이 심해지므로 무릎이 펴지지 않다가 갑자기 구부러지거나무릎을 움직일 때 뚝뚝 거리는 연발음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patella grinding test 및 슬개골 압박시 양성반응이 나타납니다.
슬개골 뒤의 연골과 대퇴골이 과도하게 만나면서 염증이 발생하는데,
운동으로 인한 압박이나 다리의 배열 이상, 평발, 과사용
허벅지 근육의 단축 등으로 인해 발생합니다.
특히 10대 여성에서 자주 발생하는 이유는 뼈의 성장에 비해서
근육의 길이는 천천히 늘어나기 때문입니다.
또한 여성의 경우 다리의 Q angle이 커서 발병확률이 증가합니다.
중년 이후에 여성에게서 발생한 경우 퇴행성 골관절염으로 진행하게 됩니다.
과사용이 주요한 원인 되므로 무리한 사용을 피해야 하며,
장시간 앉아있거나 쪼그려 앉는 자세는
증상을 악화시키므로 피할 필요가 있습니다.
5. 장경인대증후근(ITB syndrome) = runner's knee
"무릎 외측의 통증"
장경인대는 골반 외측에서 시작되어 무릎 외측까지 이어지는
장골과 경골을 이어주는 인대로,
보행을 하거나 달리기를 할 때 무릎 외측을 안정시키고,
무릎을 굽힌 상태로 유지할 수 있도록 해줍니다.
장경인대증후군은
장경인대의 bursa 부위에 과사용으로 인한 마찰, 손상으로
염증이 발생하여 무릎 외측 부위에 통증이 발생한 질환입니다.
마라톤 등을 비롯한 육상 선수에서 많이 발생하여
Runner's knee라고 불리기도 합니다.
무릎 외측에 통증이 30도 이상 무릎을 굽힐 때 더욱 악화되며
무릎 바깥쪽을 눌러 보면 통증이나 불편감이 나타나게 됩니다.
증상이 심해지면 무릎을 굽히거나 펼 때 염발음이 나타날 수 있으며,
무릎이 걸리는 느낌이 심해져서 쉽게 굽히거나 펼 수 없게 됩니다.
무릎 외측과 상부에 부종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계단을 오를 때 보다는 내려올 때 더욱 심한 증상이 발생합니다.
장경인대 증후군은 척추기립근 (최장근, 장늑근), 광배근,
복사근, 복횡근의 이상으로 인한
골반의 압력이 증가로 발생하는 경우도 많습니다.
치료시 가장 중요한 것은 근육의 스트레칭으로,
대퇴근막장근 및 관련 근육을 같이 고려해서 치료합니다.
6. 거위발 점액낭염, 거위발 건염(pes anserinus)
"무릎 내측의 통증"
허벅지 안쪽을 따라 내려와 무릎과 연결된 세 근육이
봉공근, 박근, 반건양근입니다
이 세 가지 근육의 힘줄은 무릎관절 내측 하단의 한 지점에 모이는데
(슬부 내측 tibia 경골 조면의 살짝 내측)
그 모양이 거위발과 비슷하여 거위발 건이라고 부르게 됩니다.
거위발 건에 염증이 생기면 이것을 거위발 건염이라고 부르며
거위발 건 주위에 위치한 점액낭에 이상이 생겨도 비슷한 증상이 유발되며
이것을 거위발 점액낭염이라고 합니다.
햄스트링을 과도하게 사용하여 무릎 힘줄에 무리가 가며 발생하는데
조깅, 마라톤, 빨리 걷기 등의 달리기 운동을 무리하게 하거나,
계단을 오르거나 앉았다 일어나는 과정에서도 잘 발생할 수 있습니다.
무릎 내측 및 허벅지 내측, 후면부에 통증이 발생하는데
매우 심한 통증이 발생하며 오래 지속되므로
관절염이나 반월상 연골 파열로 오진되기 쉽습니다.
무릎을 구부리거나 펼 때 무릎 안쪽에 통증이 발생하고
악화되면 평상시에도 통증이 느껴질 수 있습니다.
아침에 일어났을 때 무릎이 뻣뻣해
한두 시간 정도는 무릎을 쓰는 게 힘들기도 합니다.
치료를 위해서는 충분한 휴식을 취해야 하며,
원인이 되었던 운동은 피해야 합니다.
또한 계단을 오르거나 양반다리를 하는 것도 피하고
초기에는 20분 정도 냉찜질을 해주는 것이 좋습니다.
5. 대퇴이두근 건염
"무릎 뒤의 통증"
대퇴이두근은 햄스트링을 구성하는 주요한 근육이며,
장두와 단두 두개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축구나 단거리 달라기를 많이 하거나 장시간 과사용을 하는 경우
대퇴이두근과 무릎이 만나는 부분인 인대에 염증이 잘 발생합니다.
가장 흔한 증상은 뒷무릎의 통증으로뒷무릎의 외측 부위에 통증이 나타나며, 굴곡시 심화됩니다.
심한 경우는 뒷다리의 통증이 함께 나타날 수 있으며,
종아리의 바깥쪽에서 발목까지 아래 다리의 통증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때문에 척추 디스크로 잘못 진단되는 경우도 있습니다.대퇴이두근 건염만의 특이한 소견이 있는데
보행시에 뒷다리가 당기는 느낌을 받게 되며,
다리를 완전히 펴게 되면 통증이 악화됩니다.
그리고 신체활동이나 운동을 시작할 때 심한 통증을 느끼며,
어느 정도 운동이 지속되면, 통증이 완화되는 특징이 있습니다.
뒷무릎의 외측 부분을 눌러보면 심한 통증이 유발됩니다
장경 인대가 대퇴이두근의 외측에 위치하는데동시에 함께 문제가 발생하는 경우가 많으므로
무릎 외측 및 뒤쪽에 통증이 있을 경우는
두 질환을 잘 감별할 필요가 있습니다.
증상이 발생하면 통증을 유발하는 무리한 운동이나 활동을 피하고,
안정화되면 장경 인대, 슬굴곡근, 종아리근육의 스트레칭 운동을 시행합니다.
https://questiondoc.tistory.com/36
[그 외 무릎 뒤쪽의 통증을 유발하는 근육]
**슬와근(poplites m)
슬와근은 무릎을 구부릴 때 경골을 내회전시켜서
신전된 무릎관절을 굴곡하게 하며
무릎의 잠김을 방지하는 역할을 합니다.
슬와근의 이상이 발생하면 무릎을 구부릴 때 통증이 나타나며
내려가거나 달릴 때 통증이 나타납니다.
또한, 불명확한 무릎 뒤의 통증이 나타날 때에도
슬와근의 문제를 의심합니다.
https://questiondoc.tistory.com/37
만약, 반막양근 또는 반건양근에 이상이 발생한 하면
허벅지와 뒷무릎의 내측에 통증이 나타나게 됩니다.
족척근은 근육 몸통은 짧지만 긴 힘줄을 가지고 있으며
무릎관절과 발목관절을 약하게 굴곡시키는 역할을 합니다.
오금과 종아리의 중앙 부위에 통증이 나타나게 됩니다.
비복근 역시 무릎 뒤 통증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대개 무릎 뒤 통증은 근육이나 힘줄의 이상으로 발생하지만후방 십자인대 손상이나 연골판 후각 파열, 척추관 협착증
심부정맥 혈전증과 같은 질환에 의해서도 발생하므로
이에 대한 적절한 감별이 필요합니다.
https://questiondoc.tistory.com/6
https://questiondoc.tistory.com/7
728x90'건강정보 > 근골격계' 카테고리의 다른 글
팔꿈치 통증의 흔한 원인, 테니스 엘보(tennis elbow) : 테니스 치는 사람에게만 발생하는 것은 아닙니다. (0) 2022.04.27 몸 여기 저기의 통증 : 근막동통증후군(MPS)이 뭔가요? (0) 2022.04.20 내 다리가 혹시? 오다리, 휜다리? (외반슬, 내반슬) (0) 2022.04.13 척추 후관절증후군 : 아침에 일어나면 허리가 아파요(Facet joint syndrome) (0) 2022.04.04 종아리 파열, 비복근 파열 : 테니스 레그(Tennis leg), 운동 중 발생한 갑작스러운 종아리 통증! (0) 2022.04.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