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팔꿈치 통증의 흔한 원인, 테니스 엘보(tennis elbow) : 테니스 치는 사람에게만 발생하는 것은 아닙니다.건강정보/근골격계 2022. 4. 27. 18:40728x90
안녕하세요 궁금하닥입니다.
오늘은 주관절 통증을 일으키는 질환 중에
유명한 질환인 주관절 외상과염,
일명 테니스 엘보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종아리의 통증을 유발하는 테니스 레그(tennis leg)는
염증이 아닌 비복근의 파열로 인한 것인데요.
궁금하신 분들은 아래 링크를 참고해주세요.
https://questiondoc.tistory.com/60
1. 테니스 엘보(주관절 외상과염, 외측상과염)의 정의
주관절 외상과염은 팔꿈치 과사용 증후군의 일종으로
손상 부위 인대에 미세한 파열이 생겨 통증이 나타나는 것입니다.
주로 테니스 운동을 많이 하는 사람들에게 발생된다 해서
붙은 별칭이 테니스 엘보(tennis elbow)인데,
반드시 테니스를 치는 사람에게만 나타나는 것은 아닙니다.
손목과 팔을 많이 사용하는 사람에게 나타나기 때문에
주부나 컴퓨터를 많이 하는 사람, 팔을 많이 쓰는 선수 등
전체 성인의 1% 내외의 유병률을 보입니다.
이와 유사하게 팔꿈치 내측의 힘줄이 변성되어 통증이 생기는 경우를
골프 엘보 또는 ‘내측상과염’ 이라 부릅니다.
2. 테니스 엘보의 발생 기전?
상완골의 끝(팔꿈치)에는 동그란 두 개의 돌출부가 있는데
이 돌출부에 손목과 손가락을 움직이는 근육이 연결되어 있습니다.
그 연결 부위를 인대(힘줄)라고 합니다.
테니스엘보는 두 개의 돌출부 중
바깥쪽 돌출부의 인대에 염증이 생겨 나타납니다.
이 인대의 과도하고 반복적인 사용으로 인해
조직이 변성되거나 파열되어 통증을 유발하고
팔을 사용하기 어려워지게 됩니다.
한 번의 충격으로 생기는 것이 아니라
작은 충격이 반복되고 그 충격이 쌓이면서 서서히 통증이 생깁니다.
엄밀하게는 상과 보다는 상과의 원위부에 병변이 있으며,
염증보다는 섬유모세포와 미세혈관의 과대증식으로 인한
퇴행성 변화가 주된 병변입니다.
또한, 미세손상이 치유되는 과정에도 반복되는 부하에 노출되며
불완전하게 치유가 일어나며 통각수용체가 많아지는 것도
통증의 원인이 됩니다.
[테니스 엘보 유발 원인]
팔을 과도하게 사용하거나 갑자기 힘을 줄 경우
빨래를 짜고 마루를 닦는 등 손목을 회전하거나 뒤로 젖히는 가사일의 경우
오랜 키보드 사용으로 인해 팔꿈치에 무리가 가는 경우
무리한 운동으로 팔꿈치에 외부적 충격이 가해질 경우
3. 테니스 엘보의 증상 및 진단?
팔꿈치 관절의 바깥쪽이 아프고 누르면 통증이 심해지는 것이 특징입니다.
초기에는 약간의 통증만 느껴지다가
질환이 진행되면서 통증이 심해집니다.
주로 물건을 들어 올리거나,
팔을 비트는 동작을 하는 경우에 통증이 있습니다.
cozen test*에서 양성을 나타내며 압통점이 있습니다.
문진 및 진찰을 통해서 진단이 가능하며
영상검사는 다른 질환을 배제하기 위해 사용할 수 있습니다.
요골 신경 포착, 팔꿈치 관절염 등과 감별이 필요합니다.
[cozen test]
검사자는 대상자의 팔꿈치 관절을 고정하는데,
고정하는 손의 엄지손가락을 대상자의 가쪽위관절융기에 댑니다.
그런 다음 환자에게 주먹을 쥐게 하고,
아래팔을 엎침시킨 다음,
손목관절을 뒤로 젖히는 힘(dorsiflextion)을 주도록 합니다.
검사자는 대상자의 손목관절을 펼 때 손등에서 저항하는 힘을 주고
이때 위팔뼈의 가쪽위관절융기의 부위에서
갑작스럽게 심한 통증이 나타나면 양성(테니스엘보)입니다.
[테니스 엘보의 증상]
야구공 등을 던지는 자세를 취하면 팔꿈치 안쪽이 욱신욱신 아프다.
팔꿈치 바깥쪽의 볼록한 부위가 특히 아프다.
무거운 물건을 들거나 물건을 집는 경우에 더 아프다.
어느 날 갑자기 팔꿈치가 너무 아파 찻잔을 들기도 힘들다.
4. 테니스 엘보의 치료 및 예방방법
통증 부위를 붕대나 밴드 등으로 고정하여
되도록 움직이지 말고 안정을 취하도록 합니다.
팔꿈치 5-10cm 하단을 강하게 압박하는 보조기가 도움이 됩니다.
무리한 근육을 충분히 쉬도록 해주는 동시에
적절한 스트레칭 운동을 해야 합니다.
통증이 심한 경우 통증 조절을 위해
소염진통제, 근육 이완제 등을 복용할 수 있고
주사, 침, 약침치료, 물리치료 등을 같이 시행할 수 있습니다.
tendon을 타켓으로 해서 주관절 신근건 주위를 치료할 수 있고
근복을 타겟으로 해서 ECRB, EDC, ECU 근육을 치료할 수 있습니다.
ECRL, 상완삼두근도 치료의 대상이 됩니다.
https://questiondoc.tistory.com/28
스테로이드 주사의 경우 급성 통증에 단기 효과는 좋으나
반복 주사시 부작용이 생길수 있으며
장기적인 효과가 낮고 재발율을 높일 수 있어
제한된 경우에만 사용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6개월 이상의 비수술적 치료에도 통증이 지속되거나
통증이 너무 심해 일상생활에 장애가 있는 경우
수술적 치료의 대상이 되는데 전체의 약 10% 정도입니다.치료해서 통증이 소실되어도
재발하지 않도록 충분한 휴식이 필요합니다.
한 번 손상을 받은 근육이나 인대는 다시 손상되기 쉬우므로
최소한 몆 달 동안은 무리한 팔꿈치 사용을 삼가야 합니다.
또 평소 예방을 위해서 운동 전후에는 스트레칭을 하고
집안일 도중 팔을 쉬어주어야 합니다.
팔꿈치 근육을 강화 운동이나 보호대를 착용하는 것도 도움이 됩니다.
[테니스 엘보 스트레칭 운동]
1. 팔꿈치 근육 마사지
① 아픈 팔에 완전히 힘을 뺀다.② 근육에 오일이나 크림을 바른다.
③ 반대편 손의 엄지손가락으로
근육을 깊게 지그시 누르며 천천히 내려간다. (약 5분)
2. 팔꿈치 근육 누르고 손목 돌리기
① 반대편 손 엄지손가락이 아픈 팔꿈치 근육에 놓이도록 잡는다.② 엄지손가락이 근육을 누르는 동안 아픈 팔 손목은 천천히 돌린다.
(시계/반시계 방향 각 5회 5세트)
3. 신전근 스트레칭
① 손등이 하늘을 향하도록 팔을 앞으로 쭉 편다.② 반대편 손으로 손등을 잡고 아래로 내린다.
③ 이때 팔꿈치를 하늘 방향으로 약간 돌려준다.
④ 손은 같이 돌아가지 않도록 고정한다.
4. 해머컬
① 약 1~1.5kg의 아령 또는 물병을 손에 잡는다.② 팔꿈치는 몸통에 고정시킨 채
망치질을 하듯 손을 올렸다 내린다.
③ 근력이 좋아지면 무게를 0.5~1kg 올린다.
*주의
통증이 거의 사라지면 근력운동을 시작하고그 전에는 마사지와 스트레칭만 실시한다.
손의 반복 동작이나 무리한 작업은 중단한다.
728x90'건강정보 > 근골격계' 카테고리의 다른 글
손에 물혹이 생겼어요 : 결절종(Ganglion) (0) 2022.05.10 어깨의 갑작스러운 통증 : 석회화 건염(석회성 건염) (0) 2022.05.03 몸 여기 저기의 통증 : 근막동통증후군(MPS)이 뭔가요? (0) 2022.04.20 무릎 통증(슬통, knee pain) : 앞, 뒤, 옆 쪽 무릎 통증의 여러가지 원인은?! (0) 2022.04.19 내 다리가 혹시? 오다리, 휜다리? (외반슬, 내반슬) (0) 2022.04.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