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고관절 골절: 노인 환자에게서 응급 질환입니다.건강정보/근골격계 2022. 5. 25. 19:07728x90
안녕하세요 궁금하닥입니다.
오늘은 골절 중에서 응급한 상황에 속하는 경우가 많은
고관절 골절에 대해 알아보도록 할건데요.
젊은 사람의 경우 교통사고와 같은
외상으로 인해 주로 발생하지만,
나이가 드신 분들은 가볍게 넘어지는
낙상으로도 고관절 골절이 발생할 수 있고
특히 주의가 필요한 질환입니다.
1. 고관절 골절의 발생
대부분의 노인들은 신체의 유연성 및
균형 감각이 떨어지고 뼈가 약하기 때문에
가벼운 낙상에도 뼈가 쉽게 부러질 수 있습니다.
따라서 미끄러운 길에서 넘어지거나
화장실에서 미끄러져 고관절 골절을 당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최근에는 50세 이상 성인 남녀의
고관절 골절이 증가하였습니다.
그 이유는 도시화로 인해 운동량이 감소하고
바깥 생활을 덜 하게 되어 비타민 D의 생성이 부족해져
뼈의 강도 자체가 약해졌기 때문으로 추정하고 있습니다.
고관절 골절 후 제대로 치료하지 않으면
2년 안에 사망할 가능성이 약 70%에 달합니다.
수술 치료를 받으면 사망률은 많이 낮아지지만
그럼에도 고관절 수술 후 2년 내 사망률이 30%입니다.
고관절 골절의 사망률이 높은이유는 합병증 때문으로
고관절이 부러지면 회복될 때까지
장기간 누워 지내야 하는데,
이때 엉덩이 주변 피부에 욕창이 잘 생깁니다.
욕창에 이어 폐렴, 요로감염 등이 잘 생기고
뇌졸중, 심근경색, 폐색전증 같은 질병도
추가적으로 발생할 가능성이 있습니다.
2. 고관절 골절의 두가지 분류
고관절의 골절은 크게 두 가지 부위에서 잘 발생하는데
대퇴골의 경부와 대전자에서 자주 발생합니다.
대퇴골 경부 고관절 골절(intracapsular 골절)은
대퇴 두부로 혈액이 공급되는 것을 방해하기 때문에
특히 문제가 됩니다.
대퇴골두 무혈성 괴사의 발생과 골유합이 되지 않기 때문입니다.
이 경우, 바로 인공관절수술을 합니다.
양극성 반치환술(bipolar hemiarthroplasty)을 많이 하는데,
무혈성괴사의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내고정술 등을 했다가 고정이 안되면
두 번 수술해야하기 때문입니다.
반면, 전자간 고관절 골절(extracapsular 골절)은드물게 대퇴골의 골두로 가는 혈액 공급을 방해할 수는 있습니다.
그러나 대개 혈류 공급 차단을 잘 일으키지 않습니다.
뼈의 부러진 표면에 출혈이 있을 수 있지만
보통 심각한 문제를 유발할 정도는 아닙니다.
extracapsular 골절인 경우 고관절 나사인
CHS(compression hip screw)를 이용해
내고정을 하는 수술을 주로 시행합니다.
3. 고관절 골절의 증상은 어떻게 되나요?
고관절 골절은 보통 매우 고통스럽고
보통 서혜부 통증을 야기합니다.
뼈의 부러진 조각이 분리된 경우,걷거나 일어서거나 다리를 움직일 수 없습니다.
누워있을 때는 영향을 받은 다리가 더 짧아 보일 수 있으며
바깥쪽으로 향할 수도 있습니다.
그러나 부러진 조각이 걸려서 움직이지 않고
골절이 작을 경우,
때로는 걸을 수 있고 경미한 통증만 경험할 수 있으며,
다리가 정상으로 보일 수 있습니다.
골절 부위나 근처의 찢어진 혈관에서많은 혈액이 누출될 경우,
어지럽거나 쇠약하다고 느낄 수 있습니다.
해당 부위가 부을 수 있고, 자주색의 멍이 생길 수 있습니다.
때로는 고관절이 부러질 때 고관절 대신무릎에서 통증이 생기는 것처럼 보이기도 합니다.
무릎과 고관절이 동일한 신경 경로의 일부를
공유하기 때문에 이런 식으로 느끼게 됩니다.
이러한 통증을 연관 통증이라 합니다.
고관절에 골절이 발생하면
다음과 같은 증상이 동반됩니다.
① 외상이 있으면서 다리를 움직일 수 없음
② 골절이 심하면 다리가 짧게 보일 수 있음
③ 엉덩이 관절을 움직이면 심한 통증을 호소함
④ 양반다리를 하면 통증이 더욱 심해짐
[부전골절]
골다공증이 심한 환자의 경우대퇴경부의 전위가 없는 골절이 발생합니다.
골다공증으로 인해 약해진 뼈가일상적인 체중 자체를 견디지 못해 골절되는 것으로
X-ray 상에서 골절이 잘 보이지 않아 놓치는 경우가 많으며시간이 경과한 후에 골절 부위의 골진이 보이면서
골절이 진단되는 경우가 흔하기 때문에,
X-ray 검사와 동위원소 검사를 함께 시행해야만
정확하게 진단할 수 있습니다.
4. 고관절 골절의 진단
대부분 단순 방사선 사진으로 확인이 가능하며
전후면, 측면 및 축면의 상을 필히 확인해야 합니다.
이외에도 CT 촬영이 골절 형태 파악에 도움이 될 수 있으며
불완전 골절일 경우 MRI 나 골주사 검사를 활용할 수 있습니다.[X-ray 상 고관절 골절의 확인]
Shenton's line*이 지켜졌는지 중요합니다.
외회전되면서 소전자가 더 도드라집니다.
Femur neck/head 비대칭이 관찰됩니다.
골절 라인의 경화증(하얗게 보입니다)
골 균질의 이상이 관찰됩니다.
골절 주변부 영상은 더럽게 보입니다.
*Shenton’s line
대퇴골 경부(femoral neck)의 medial과
Superior pubic ramus의 아래 라인인
Shenton's line이 예쁜 곡선을 그려야 합니다.
만약 이 라인이 깨지면 대퇴골 경부가
부러졌다는 의심을 하게 됩니다.
그러나 모든 대퇴골 경부 골절이
Shenton’s line이 깨지게 만드는 것은 아닙니다.
5. 고관절 골절의 치료
골절된 고관절은 수술로 복구하거나 치환할 수 있습니다.
복구를 위해 사용되는 시술은
개방 정복 내부 고정(ORIF)이라 합니다.골절이 너무 심하지 않을 때는 고관절을 복구하는
내고정술을 원칙으로 합니다.
다만, 골절이 심하거나 대퇴골 혈액 공급에 지장이 있을 때는
고관절을 치환합니다(관절성형술 시행).1) 내고정술
대퇴골 경부(전자하) 골절의 경우대퇴골두를 지지하기 위해 금속핀을 삽입합니다.
전자간 골절의 경우,슬라이드식 압박 나사와 측면 금속판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2) 인공관절 치환술
고관절의 일부 또는 전부를 치환하게 되는데,
고관절 부분 치환술(반관절성형술)이 필요할 경우,
골반뼈의 관절 소켓에 맞도록 만들어진
공 모양의 금속 부속물을 사용하여 수술합니다.
고관절 전치환술(전관절성형술)을 시행하는 경우는
주로 대퇴골 경부 골절이
고관절의 혈액 공급을 방해할 가능성이 있을 때로
고관절 전치환술은 고관절 부분 치환술보다 더 위험합니다.그러나 부분치환술보다 보행에 이점이 있어
활동적인 노인들에서 고려될 수 있습니다.
고관절 치환술 후, 환자는 보통 수술 1~2일 후에
목발이나 보행기를 사용하여 걷기 시작하며
6주 후 지팡이로 전환합니다.
다만, 인공 관절은 영구 지속되지는 않습니다.
특히 활동적이거나 몸집이 큰 사람은
10~20년 후에 다시 수술을 받아야 할 수 있습니다.728x90'건강정보 > 근골격계' 카테고리의 다른 글
척추측만증(scoliosis) : 잘못된 자세와는 관련이 없습니다. (0) 2022.06.14 흉곽출구증후군(TOS) : 팔을 올리면 저리고 아파요 (0) 2022.06.05 손에 물혹이 생겼어요 : 결절종(Ganglion) (0) 2022.05.10 어깨의 갑작스러운 통증 : 석회화 건염(석회성 건염) (0) 2022.05.03 팔꿈치 통증의 흔한 원인, 테니스 엘보(tennis elbow) : 테니스 치는 사람에게만 발생하는 것은 아닙니다. (0) 2022.04.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