손발저림 : 손저림, 발저림 원인이 뭘까요? (뇌졸중의 골든사인?!) :: 궁금하닥(QuestionDoc)

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손발저림 : 손저림, 발저림 원인이 뭘까요? (뇌졸중의 골든사인?!)
    건강정보/내과 2022. 7. 20. 18:39
    728x90

     

    안녕하세요 궁금하닥입니다.

     

    손발저림은 연령과 관계없이

    흔하게 호소하시는 증상으로

    대부분 혈액순환 장애라고 생각하시지만

    그것 보다는 다른 원인 질환도 많습니다.

     

    오늘 포스팅에서는 손발의 저림을 유발할 수 있는 

    여러 질환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1. 손발저림

     

     

    손발저림은 손이나 발에 발생하는 

    모든 저린 증상을 통칭하는 용어로 

    저리다, 화끈거린다, 시리다, 아프다, 쑤신다, 

    마취된 것 같다, 피가 안 통하는 느낌이다, 먹먹하다 등 

    여러가지로 표현되고 있습니다. 

    손발저림은 매우 흔하게 나타나는 증상으로

    원인도 다양합니다.
     
    손발저림이 발생하면 환자분들은 흔히 

    혈액순환장애로 생각하고 혈액순환제를 복용하는 경우가 많은데, 

    이는 잘못된 상식으로 혈액순환장애에 의한 손발저림은 

    매우 드물며 대부분 신경계 장애로 발생합니다.

     

     

    2. 손발저림의 원인 질환 분류

     

    1) 중추신경계 질환

    중추신경은 뇌와 척수로 구분되어 있는데,

    척수는 뇌와 말초신경을 연결해주는 구조물입니다.

     

    (1) 대뇌질환

    중풍/뇌졸중 (중 특히 시상경색)

    다발성 경화증

    뇌종양

     

    (2) 뇌간 및 척수질환

    외측연수증후군(독특한 저림 현상 동반)

    척수염

     

    2) 말초신경계 질환

     말초신경은 거미줄처럼 신체 구석구석,

    손가락 끝, 발가락 끝까지 퍼져 있는 신경으로

    말초신경병은 손발저림증의 가장 흔한 원인이 됩니다.

     

    (1) 척수신경뿌리병증

    추간판 탈출증(DISC)

    척추간협착증(LSS)

     

    (2) 단일신경병증(포착)

    수근관증후군

     

    (3) 다발신경병증(대사/중독)

    당뇨병성 신경병증

    요독증

    비타민 B12결핍증

    알콜성신경병증

    약물성

     

    3) 신경계 외 질환

     

    (1) 순환계이상(자가면역)

    레이노병(증후군)

     

    (2) 심리적 원인

    과호흡증후군

    전환장애

     

    [손발저림의 양상별 원인 질환]

     

    부위가 일측성 : 말초신경 마비 및 포착(수근관 증후군)/ disc/ 시상증후군

    양측성 : 말초신경병증/ disc/ 뇌줄기 및 척수장애

     

    뒷목, 어깨, 허리의 통증 동반 시 : 척추질환

    전신, 신경학적 증상(마비, 둔화 등) 동반 시 : 중추신경계 병변

    저림과 시림이 동반 : 레이노드 증후군 등과 같은 혈액순환 장애

     


    3. 손발저림의 감별진단

     

     중추신경계와 말초신경계의 감별

    중추신경계 질환(ex. 중풍) 말초신경계 질환
    갑작스런 발병 서서히 발병
    반신, 편측성 양측성 또는 단일성
    손발 전체의 증상 및 전신 증상  손발 특정 부위에만 증상(전신증상 없음)
    신경학적 증상 동반(반신마비, 어둔 등) 동반 증상이 드물다

     

    혈액순환장애와 말초신경병증

    혈액순환장애(혈관계) 말초신경병증(신경계)
    통증>저림 통증<저림
    수지 냉감 냉감은 심하지 않음
    찬물에 손끝 백색변화 백색변화는 없음
    수족 한출 변화 동반, 맥박 약화 한출 변화나 맥박 약화가 없음
    예) 레이노이드 증후군 예) 추간판 탈출증, 당뇨병성 신경병증 등

     

    [ALARM SYMPTOM]

     

    다음과 같은 증상이 동반되는 경우

    정밀 검사가 필요합니다.

     

    뇌혈관질환 의심증상

    증상 발생 시 3-4시간 이내인 경우

    갑작스럽게 편측으로 증상이 오는 경우

    마비, 어둔 등 신경학적 이상 동반

     

    손발 저림의 정도가 점점 악화되는 경우

    다른 전신 증상이 동반되는 경우

     

     

    4. 손발저림의 원인 질환 정리

     

    1) 추간판 탈출증

     

     

    추간판이 탈출되어 신경자극을 유발하는 상태로

    L4/5 > L5/S1 > L4/L3 순으로 다발합니다.

    경추부, 요추부의 통즈을 동반하며

    사지의 방사통, 감각이상, 근력저하가 나타날 수 있습니다.

     

    특히 dermatome에 따라 디스크 탈출 부위마다

    각자 다른 부위에 감각이상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C6 아래팔, 엄지와 검지

    C7 검지와 중지

    C8 안쪽 아래팔, 환지와 약지

    T1 안쪽 아래팔

     

    L5 가쪽다리, 발등

    S1 발바닥, 발 외측

     

    보다 자세한 내용이 궁금하신 분들은

    아래 링크를 참고하시길 바랍니다.

     

    https://questiondoc.tistory.com/56

     

    요추 추간판 탈출증(허리 디스크) : 어떤 증상일까?

    안녕하세요 궁금하닥입니다. 오늘은 허리 통증으로 많은 분들이 호소하는 질환이죠 요추 추간판 탈출증, 일명 허리 디스크에 대해 정의, 원인, 증상, 진단에 대해 알아보는 첫번째 시간입니다.

    questiondoc.tistory.com

    https://questiondoc.tistory.com/57

     

    요추 추간판 탈출증(허리 디스크) : 수술 해야 할까요?

    안녕하세요 궁금하닥입니다. 오늘은 저번 포스팅에 이어서 허리 통증으로 많은 분들이 호소하는 질환이죠 요추 추간판 탈출증, 일명 허리 디스크의 관리 및 수술 적응증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

    questiondoc.tistory.com

     

     

    2) 척추관 협착증

     

     

    척추관의 단면적이 좁아져 척수관 내의

    마미, 신경근 등이 압박을 받아

    파행, 하지통 등의 증상이 나타나는 질환으로

    대부분 퇴행성 변화에서 기인합니다.

    L4/5 부위에서 가장 다발하며, C5/6, L3/4 L5/S1

    부위에서도 호발할 수 있습니다.

     

    요통은 심하지 않은 편이지만, 

    기립 또는 보행시 둔부통증과 함께 하지부 감각이상(저림 + 통증)

    양측으로 방사통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특징적인 증상은 신경인성 파행으로

    보행 시 통증으로 쪼그려 앉았다가 통증이 사라지면 

    다시 걸을 수 있는 증상을 말합니다.

     

      신경인성 파행 혈관성 파행(다리의 미세한 혈액공급방애)
    통증양상 다리가 모호하게 조이고, 쑤시고, 타는듯함 꽉 조이는 느낌, 근경련(원위부에서 근위부로) =쥐가 난다
    통증위치 등, 엉덩이, 다리 다리
    통증이 발생하는 보행거리 다양함 일정한 거리
    통증의 악화 똑바로 서거나 보행 시 걷거나 하지를 사용하는 모든 행위(근육 활동 요구 시)
    통증의 완화 앉거나 허리를 굽히거나 쪼그려 앉을 때 서있는 등 근육활동이 적어지는 행위
    경사길을 걸을 때 내리막길에서 통증 오르막길에서 통증
    감각 상실 피부분절 분포를 따름 스타킹-글로브 분포

     

    보다 구체적인 내용이 궁금하신 분들은

    아래 링크를 참고해 주세요.

     

    https://questiondoc.tistory.com/58

     

    요추 척추관협착증(LSS): 어떤 질환인가요?

    안녕하세요 궁금하닥입니다. 오늘은 나이드신 요통환자분들이 많이 경험하시는 질환인 요추 척추관 협착증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1. 척추관 협착증의 정의 척추관 협착증은 척추관,

    questiondoc.tistory.com

     

     

    [참고 : 요추 척추관협착증과 추간판 탈출증의 비교]

      요추 척추관협착증 요추 추간판 탈출증
    잠자리 단단한 요에서 불편함을 느낌 단단한 요에서 편안함을 느낌
    요추부 굴곡 굴곡하면 편하거나 통증이 감소, 구부린 자세 굴곡 시 통증, 힘듦
    SLR test 대부분 정상 30-70도 사이에서 요통과 하지 방사통, 견인통 발생
    신경학적 증상 뚜렷한 신경학적 증상이 없고(상대적으로 덜함)
    다리가 시리며 저림, 둔부나 항문 부위로 요통이 전이됨
    뚜렷한 신경학적 증상이 있음

     

     

    3) 수근관 증후군

     

     

    손저림의 가장 흔한 원인으로,

    pahlen 검사와 tinel sign을 통해 진단하지만

    애매하게 나타나는 경우도 있습니다.

     

    수근관의 통로가 좁아지거나,

    내부 압력이 증가하여 정중신경이 압박을 받고

    손바닥과 1,2,3지에 저림이 나타납니다.

    중년 여성에게 흔히 발생하며 서서히 발병합니다.

     

    특징적으로 밤(수면 시)에 심해지며,

    높은 곳의 손잡이를 잡거나 운전 중에도 악화됩니다.

    손을 떨면 압력이 감소하여 증상이 완화되며

    증상이 심한 경우 단무지외전근의 근력약화와

    엄지두덩근육의 위축 소견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초기에는 수근관 내 약물, 약침 치료로도

    효과가 있지만, 진행된 경우 초음파를 통한

    수술적 치료, 도침 치료 등을 시행합니다.

     

     

    이외에 손발 저림을 유발하는 다른 질환에 대해서는

    다음 포스팅에 이어서 하도록 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728x90

    댓글

Designed by Ti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