콧속의 염증, 비전정염 : 코안이 헐었을 때 어떻게 관리하나요?(비강건조증, 비염) :: 궁금하닥(QuestionDoc)

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콧속의 염증, 비전정염 : 코안이 헐었을 때 어떻게 관리하나요?(비강건조증, 비염)
    건강정보/건강칼럼 2022. 9. 26. 18:27
    728x90

     

    안녕하세요 궁금하닥입니다.

     

    환절기가 찾아오면서

    알레르기성 비염으로 고생하다 보면

    계속되는 콧물과 재채기로 인해

    코안이 헐어버리기도 하는데요.

     

    오늘은 코속 염증이 생기는 원인과 함께

    대처법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1. 비전정염은 왜 생길까요?

     

     

    비전정염이란 코 입구의 코털이 있는 부위인 

    비전정이라는 곳에 염증이 생긴 상태를 말합니다.
    (비전정은 비점막으로 덮혀 있는 

    비강 내 다른 부위와는 달리 

    피부로 덮여 있어서 

    습진과 같은 피부 질환도 생길 수 있습니다.)

    대부분 양측 코안에 동시에 생기며
    비전정부의 염증은 예후가 비교적 좋은 편입니다.

    가장 흔한 발병이유는 반복적으로 만지는 것

     – 코안을 비비고 후비는 것입니다. 
    원인균은 대부분 포도상 구균 박테리아입니다.
    아이들에게서 흔하며, 만성 비염, 축농증, 
    황사같은 미세먼지와 

    화학오염물질의 자극에 의해서도 발생하고  

    알러지 과민반응에 의해 나타나기도 하므로 

    알레르기 비염과 병발하거나,
    자율신경계의 문제에 의해 

    혈관운동성 비염과 함께 발병하기도 합니다.

    한번 상처난 점막이 세균감염에 의해

    계속 염증이 덧나게 되고 콧구멍 주변부위가 부어오르면

    따가운 통증을 느낄 수 있는데요.

    코 안쪽에 뭔가 가득찬 느낌이 들어

    억지로 코를 파거나 손을 댄다면

    상처는 더 심해질 수 있습니다.

     

    [비전정염으로 인해 나타나는 증상들]

     

    코딱지가 많다
    코를 벌렁벌렁거린다
    코를 비비고 후빈다
    콧속에 뭐가 난다
    코안이 간지럽다
    코가 답답하다
    코가 마르고 건조하다
    코피가 자주 난다
    코안이 뜨겁다, 코가 화끈거린다(작열감)
    코를 만지면 아프다
    코털이 자꾸 빠진다
    코안이 단단하고 덩어리가 만져진다
    가피나 인설이 생긴다
    고름이 나온다

     

     

    2. 비전정염의 예방 및 치료

     

     

    1) 충분한 휴식 및 수분섭취

     

    콧속이 허는 이유는 건조함 때문입니다.

    공기와 피부와 건조해지지 않도록

    가습기를 사용한다거나,

    물을 자주 마시는 습관을 들이도록 합니다.

     

    충분한 수분보충으로 코안쪽이 건조하지 않도록 해주고

    이때 면역력이 떨어지지 않도록

    수면이 부족하지 않게 편안한 휴식과

    수면의 질을 높이기 위한 노력을 하는 것이 좋습니다.

     

    2) 식염수, 소금물 소독

     

    코안에 세균번식이 되지 않도록

    식염수나 소금물을 이용하여 자주 헹궈주면

    콧물과 염증 완화에 도움이 됩니다.

     

    3) 코풀때는 물티슈로, 연고사용

     

    코를 풀때는 마른 휴지보다는

    촉촉한 물티슈를 사용하여 자극을 최소화합니다.

    코안이 헐었는데도 계속 코를 푸는 행위를 하는 것은

    치료에 도움이 되지 않으므로

    바세린이나 연고를 면봉에 뭍혀 얇게 도포하여 발라줍니다.

     

    *사용 연고 : 항생제나 부신피질호르몬제가 포함된 연고
    한방연고, 허브연고, 아로마오일연고 등

     

    [주의해야 할 증상]

     

    비전정염의 정도가 심하다면 화농이 되거나 
    피가 몰려서 붓는 혈종이 생기기도 합니다.

    이 때는 반드시 병원에 가서 절개치료를 받고 
    항생제연고를 처방받아야 합니다.

    비전정부의 정맥은 뇌와 직접 연결되어 있어서 
    극단적인 경우 뇌로 염증이 퍼질 수도 있기 때문입니다.
    (보기가 아주 드문 케이스)

     

     

    3. 비강건조증과 비염(참고)

     

    1) 비강건조증

     

    비강건조증은 코안이 마르고, 건조한 느낌을 말합니다.

    일종의 자각 증상입니다.

    코 안이 건조해지면서

    코 안 점액과 섬모세포가 제 기능을 못하고,

    조직이 예민해진 결과입니다.

     

    숨쉬기가 곤란하고, 코피가 납니다.

    건조한 곳에서 밤새 잠을 잔 후

    코를 풀면 코피가 나는 이유입니다. 

    코가 건조해지면서 발생하는 비강건조증의

    주요 원인은 습도입니다.

    습도가 낮은 겨울철과 환절기에 유병률이 높습니다. 

    하지만 비강건조증은 이비인후과

    질환이 원인이 돼서 발생하기도 합니다. 
    비강건조증을 일으키는 대표적인 질환은 비염입니다.

    아울러 부비동염, 비전정염도 원인이 될 수 있습니다. 


    2) 비염

     

    일반적으로 알레르기 비염

    콧물이 너무 많이 배출돼서

    맑은 콧물, 코막힘, 재채기, 간지러움 등의 증상이 동반되는

    가장 흔한 이빈후과적 질환입니다. 

    이와 달리 염증성 비염은 감기에 따른 바이러스 감염이나

    공해물질, 미세먼지 등으로

    코 안 비점막이 손상돼 발생하는 비알레르기성 염증성 질환입니다.

    주요 증상은 코 막힘과 콧물,

    후비루(콧물이 목뒤로 넘어가는 증상)입니다.  

    이에 비해 건조성 비염은 비점막의 기능이 저하돼

    콧물이 적게 배출되는 질환입니다.

    콧물이 없다보니, 코안이 늘 말라서 코피가 나고,

    가피가 많이 생성되며 코가 막힙니다.

    심하면 호흡도 곤란해집니다.

    환자는 대개 중년 이상으로

    코가 막힌 듯 답답한 증상이 있으면 건조성 비염을 의심해야 합니다. 

    건조성 비염은 실내가 건조한 겨울과 환절기에

    증상이 더 심해지며

    반적인 비염과 치료방법을 달리해야 합니다.

    비염 치료를 잘못하면

    건조한 증상이 더욱 악화될 수 있습니다.

    코안의 빈공간인 부비동에 염증이 생기는 부비동염

    코막힘과 콧물이 주요 증상입니다.

    이 질환으로 코 안이 헐거나 염증이 생기면

    비강건조증이 함께 나타날 수 있습니다. 

    또 코 입구의 코털 부위에 염증이 발생하는

    비전정염도 건조증을 일으킵니다.

    코털 부위는 피부로 습진 같은 피부 질환이 생기는데,

    이 때문에 비강건조증이 생기기도 합니다.


    https://questiondoc.tistory.com/113

     

    감기 Clinic : 감기와 알레르기 비염은 뭐가 다르죠?

    안녕하세요 궁금하닥입니다. 감기는 매후 흔하게 걸리는 질환으로 성인의 경우 1년 2~4회, 소아의 경우 연 6~8회 정도 걸린다고 알려져 있는데요. 오늘은 이 감기의 정의 및 병기에 대해 알아보도

    questiondoc.tistory.com

     

    728x90

    댓글

Designed by Tistory.